경제·금융

'저출산·고령화' 협약문 첫선

보육시설 확충·여성고용 활성화… 정부·재계·노동계등 참여

20일 서울 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협약 체결식에 참석한 한명숙(앞줄왼쪽 네번째) 총리 등 사회단체 지도자들이 협약서에 서명한 뒤 손을 잡고 있다. /이호재기자

저출산ㆍ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ㆍ재계ㆍ노동계 등 사회 주체들이 협력을 다짐하는 공동 협약문을 만들었다. 협약문에는 국ㆍ공립 보육시설 확충, 정년 보장, 여성 고용 활성화 등 문제 해결을 위한 각 주체별 구체적 목표와 협력방안을 담겨 있다. 사회 각계 대표가 참여하는 저출산ㆍ고령화 대책 연석회의는 20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명숙 총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저출산ㆍ고령화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협약’ 체결식을 가졌다. 저출산ㆍ고령화 문제에 대해 정부와 노동계ㆍ재계ㆍ시민사회ㆍ종교단체 등 범국민적 사회 주체들이 모여 상생의 협약안을 만들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재계는 직장보육시설을 늘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협력 차원에서 대기업 내 직장보육시설을 중소기업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게 된다. 또 시차출퇴근제ㆍ탄력근로시간제 등 근로시간을 유연화해 여성이 집안일과 직장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바꾸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노동계 역시 단체협약 지침에서 직장보육시설을 늘리기 위한 노사간 협의를 확대하기로 해 직장보육시설 확충에 노사가 함께 힘을 모을 계획이다. 특히 재계와 협의해 중소기업의 취약 근로자를 위해 공단별로 보육지원센터를 만드는 방안을 함께 추진하게 된다. 연석회의는 저출산ㆍ고령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총리와 부처 장관급 8명, 경제계 6명, 시민ㆍ사회단체 5명, 노동계 3명, 종교계 3명, 농민 2명, 여성계 2명, 학계 2명 등 각계 대표 32명이 모여 지난 1월 출범했다. 이번 협약문을 발표하기까지 4회의 본회의와 16회의 실무협의회를 거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