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저축銀 소액대출 고객 10명중 7명 '다중채무'

상호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을 받은 고객 가운데 76.8%이상이 2개 이상의 저축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다중 채무는 저축은행 연체율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한때 업계의 `효자상품` 노릇을 해 온 소액대출이 `적자상품`으로 전락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17일 금융계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중앙회가 지난달 10일 현재 95개 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 현황을 파악한 결과 대출거래자 102만8,000여명 가운데 1개 저축은행만을 거래하는 사람은 전체의 23.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수 대출거래자 비중은 ▲2개 저축은행 이용자 18.9% ▲3개 20.5% ▲4개 16.8% ▲5개 10.5% 등으로 나타났다. 또 8개 이상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고객수가 2만명이 넘고 최고 12개 저축은행으로부터 대출 받은 사람도 160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출금액을 기준으로 200만원씩 중복대출을 받는 경우가 56.2%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0만원 20.1% ▲100만원 13.8% 등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대출모집인이 수수료수입 확보에 치중해 과도하게 대출을 권유한 후유증으로 풀이된다. 특히 뒤늦게 소액대출을 시작한 저축은행들이 연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출을 늘리는 데 급급해 연체율이 급증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9월말현재 소액신용대출 실적은 2조8,305억원, 연체율은 22.3%로 지난 해말보다 대출잔액은 1조3,412억원 증가했고 연체율은 10.6%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소액신용대출 특성상 채무자 분포가 전국에 걸쳐 있어 채권회수 경비 등을 감안할 경우 다른 지역 채무자에 대한 연체금 회수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김민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