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가계 주식보유비중 OECD 회원국중 하위권

한국 가계의 총금융자산 중 주식보유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국가에 비해 소득의 불안정성이 높은 자영업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금융 인프라의 취약성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11일 한국증권연구원은 ‘가계 주식보유의 국제비교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기관을 통한 간접적 주식투자분까지 포함해 한국가계의 총금융자산 중 주식투자비중은 지난 2001년을 기준으로 9.3%에 불과해 OECD 비교대상 20개국 가운데 오스트리아를 제외하고 가장 낮았다고 밝혔다. 반면 뮤추얼펀드ㆍ보험 및 연기금 등 기관의 주식보유비중이 높은 미국이 51.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영국 49.6%, 스웨덴 48.2%, 호주 46.8%, 핀란드 45.5% 등의 순으로 이들 국가의 가계는 총금융자산의 50% 내외를 직간접 투자를 통해 주식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칠 증권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 가계의 주식보유비중이 낮은 것은 높은 자영업자 비중에 따른 소득의 불안정성과 기관의 낮은 주식투자비중 등 금융 인프라가 취약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총취업자 대비 임금근로자 비중은 95~2001년 평균 62.9%로 OECD 20개국 중 가장 낮은 데 반해 자영업자의 비중은 37.1%로 가장 높았다. 반면 미국의 임금근로자 비중은 95.4%로 가장 높았고 노르웨이(92.4%), 프랑스(91.5%), 독일(90.0%) 등도 90%를 넘었다. 김 연구위원은 “가계의 주식보유 확충을 위해서는 고용구조 재편을 통해 임금근로자의 비중을 높이는 등 소득의 안정성을 꾀하면서 기관 역할 확충, 간접투자기구의 투명성 제고, 부당 내부거래에 대한 철저한 감독 등 금융 인프라 정립방안이 병행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