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對北제공 중유 5개국 공동부담"

전력 200만㎾ 비용은 한국서…송전 인프라등 구축도

"對北제공 중유 5개국 공동부담" 전력 200만㎾ 비용은 한국서…송전 인프라등 구축도 권구찬기자 chans@sed.co.kr 관련기사 • 경수로 자금 2조5,000억만으로는 對北전력지원 턱도 없다 • "北전기공급 필요 명백 南제안은 창의적 구상" • 중대제안, 政局 구도 새변수로 • ‘동방계획’ 방불 철통보안 유지 • 국회동의 반드시 받아야 정부는 제4차 6자 회담에서 200만kw 전력의 대북 송전 비용은 한국이 전액 부담하지만 북한의 핵폐기 가 될 때까지 대체 에너지인 중유의 대북제공은 6자회담 관련 5개국이 공동 부담하도록 할 방침인 것으로 13일 알려졌다. 정부는 북한이 6자회담에서 핵폐기에 합의한 다면 이후 핵폐기까지 3년 정도 소요되고, 이 기간 중 대북 송전 관련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고위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핵폐기를 약속하고 '중대제안'을 받아들인다면 대북 송전이 이뤄지는 시점까지 3년 동안 중유는 당연히 제공돼야 하며, 6자회담 참가국들이 어떤 형태로든 중유 비용은 분담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면 지금까지 대북 중유공급은 미국이 맡아왔으나 북핵 사태가 표면화하면서 중단됐다. 앞서 지난 12일 정동영 통일부장관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핵폐기에 동의하면 송전 개시 전까지 기간에 2002년 12월 중단한 중유 공급 계획이 6자회담을 통해 논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대북 송전 시설 구축비용과 관련해 "송전시설과 변압시설까지 우리가 부담하고 평양 변전소에서 일반 수요자로 가는 배선 인프라는 별도로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200만kw의 전력을 보내려면 한국 내 발전소 유지비용이 적지 않아 전체 인프라 비용은 경수로 건설비용에서 상계 처리하기로 한 24억달러를 넘어갈 공산이 크다는 지적이다. 입력시간 : 2005/07/13 18:4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