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자태그 개당 5원에 양산 원천기술 개발

순천대 조규진 교수팀, 내년 상용화

전자태그(RFID)를 개당 5원 이하로 만들 수 있는 원천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해 내년 상반기부터 상용화한다. 순천대 지역협력연구센터 조규진 교수팀은 6일 100% 유기물질과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해 잉크젯 프린트 방식으로 RFID칩을 개당 1~5원선에서 제조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에 사용된 유기물질 고분자 소재는 기존 RFID 제조에 사용돼왔던 무기물 금속, 세라믹 반도체 등을 포함하지 않고도 반도체의 특성인 높은 전하이동성을 띠고 있다. 또 이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 소재로는 불가능했던 용액 공정이 가능해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RFID칩을 대량 생산,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세계적으로 RFID 제조비용 인하 경쟁이 벌어지고 있지만 아직 50원 벽을 넘지 못한 상황. 또 이 방식을 이용하면 종이ㆍ플라스틱ㆍ나무 등 모든 기판에 인쇄할 수 있어 저가의 RFID 태그 제조로 물류유통에도 큰 변화가 올 것으로 기대된다. 조 교수팀은 파루와 함께 내년 상반기 이 기술을 플라스틱 RFID칩 제조에 적용, 상용화할 계획이며 첫해 2,000억원의 매출과 100명의 고용창출을 예상하고 있다. 조 교수는 “고분자 합성소재 제조기술만으로도 획기적이며 RFID칩 제조비용을 현격히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순천대 지역협력센터는 산업자원부와 교육인적자원부의 지원으로 설립됐으며 이번 조 교수팀의 기술개발에는 순천시 소재 기업인 ㈜파루ㆍ전남테크노파크ㆍ순천시ㆍ전라남도 등이 산학연 협력을 통해 지원했다. ● 용어설명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상품과 사람 등을 식별하는 기술로 바코드와 달리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사물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해 정보기술(IT)ㆍ유통ㆍ물류산업 등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단으로 인식되나 제조단가가 높은 게 단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