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S&P "美 신용 강등 여부 재정적자 감축안에 달렸다"

국제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미국 의회가 채무한도 상향조정에 합의하더라도 믿을만한 재정적자 감축안을 내놓지 못하면 미국의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S&P는 18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본부에서 한국 등 아시아 특파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미국의 신용등급 조정은 부채한도 증액보다는 재정적자 감축이 더 큰 평가요소가 될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니콜라 스완 S&P 미국 국가신용등급담당 애널리스트는“미국이 채무한도를 늘리는 것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며 “미국이 앞으로 10년 동안 재정적자를 4조 달러 줄이는데 합의하지 못하면 신용등급을 강등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낮춘다면 단계별로 낮출 이유가 없고 한번에 2~3단계를 내릴 수도 있다”며 “미국의 재정감축 협상과 미국 경제 상황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내일이라도 당장 신용등급을 내릴 수 있다”고 밝혔다. 스완은 또 미 정부가 각종 연금에 대한 지급을 중단하더라도 이는 디폴트가 아닌 반면, 시장의 국채에 대한 이자나 상환이 1달러만 모자라도 디폴트로 간주되며 이 경우 미국의 신용등급은‘ D’로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지난 4월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Negative)’으로 내렸던 S&P는 미국의 재정적자 감축 협상에 진전이 없자 지난 14일 미국을 신용등급 하향 조정이 가능한 ‘부정적 관찰대상’(credit watch-negative)에 포함시켰다. 이는 90일 내에 신용등급을 내릴 확률이 50%라는 의미다. 한편, 채정태 S&P한국 대표는“한국의 신용등급 전망은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안정적’(stable)”이라며 “앞으로 어느 쪽이 강해지느냐에 따라 신용등급의 방향도 결정될 것으로 S&P는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신용등급 상승을 위해서는 “북한과 관련된 지정학적 위험을 줄이면서 산업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