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아시아나 항공 하반기 주요 노선 강화

인테리어 강요ㆍ가맹점 급증 등 부작용 속출

프랜차이즈 제빵업체들이 초고속 성장하고 있으나 인테리어 계약 강요 등 부작용이 많아 가맹점주들의 피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낸 자료를 보면 2009년 3,855곳이었던 제빵 분야의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지난해말 5,883곳으로 2년 새 무려 2,000곳이 늘었다.

`파리바게뜨'를 운영하는 파리크라상은 2009년 7,833억원이었던 매출이 지난해 1조3,126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221억원이었던 순이익도 442억원으로 늘었다.


가맹점 수는 1,762개에서 2,675개으로 늘었다.

관련기사



`뚜레쥬르' 브랜드의 CJ푸드빌도 매출이 5,877억원에서 7,382억원으로 늘었다. 가맹점 수도 1,063개에서 1,401개로 2년새 40% 성장했다.

제빵 프랜차이즈의 급성장은 적지 않은 부작용도 낳고 있다.

가맹본부들은 신규 가맹점에 특정 인테리어업체를 강요하기 일쑤다. 개별적으로 시공하더라도 감리비 등의 명목으로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 파리바게뜨가 이러한 명목으로 받는 돈은 가맹점당 330만원, 뚜레쥬르는 500만원에 달한다.

공정위는 가맹점에 정기적인 리모델링을 강요한 혐의로 다음달 파리크라상을 제재할 방침이다.

개별 가맹점의 수익성 악화를 고려하지 않고 가맹점 수를 급격히 늘리는 것도 문제다.

가맹점 간 영업 간격이 좁아져 브랜드 희소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