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질감 커 화학적 결합 `산너머 산`

신한금융지주사의 조흥은행 인수가 최종 결정됐지만 `성공적인 통합`으로 가기 까지는 경영상의 숙제가 산적해 있다. 앞으로 3년간 조흥은행이 독립법인으로 남고 독립경영체제를 유지하게 돼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 기다려야 할 기간이 너무 길다는 문제가 남는다. 전산시스템ㆍ신용카드ㆍ점포망 등의 중복 운용이 가져올 비효율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또 은행의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나빠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흥은행 직원들의 임금을 신한은행 수준으로 맞추는데 따른 비용 역시 큰 부담이다. 이밖에 ▲신한ㆍ조흥 두 조직의 `화학적 결합`이 쉽지 않다는 점 ▲2년후 통합추진위원회를 통해 시작될 본격적인 통합작업에서 또 다시 은행 이름과 경영진 선임 등을 놓고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민거리다. ◇중복투자ㆍ구조조정 지연 우려=조흥은행이 3년간 독립법인을 유지하게 돼 신한지주 아래에는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이라는 두 은행이 공존하게된다. 신한측에서는 분리 경영을 통한 건전한 경쟁 유도로 오히려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중복투자로 인한 비효율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같은 지역에 있는 두 은행의 점포를 정리하는 등 경영 합리화 정책을 쓸 수 없어 비용 부담이 그만큼 커진다. 또 국민ㆍ우리ㆍ하나은행 등 대형은행들이 앞 다투어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전산시스템 구축도 3년 후로 미뤄질 수 밖에 없어 장기적인 경쟁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가장 큰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신용카드 부문의 통합 시기가 문제다. 현재 신한카드 고객은 200만명에 불과하지만 조흥카드는 고객수가 400만명에 이른다. 당초 신한지주는 카드사업을 통합해 600만명의 고객을 가진 대형 카드사를 만들어 국민카드 등에 대응한다는 전략이었다. 신한지주측은 조흥은행 카드사업을 떼어 내 가급적 빨리 통합할 필요를 느끼고 있지만 조흥측의 반발을 어떻게 무마할 지가 숙제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조흥은행의 독립경영을 3년간 보장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시간이 그만큼 늦춰질 수 밖에 없다”며 “점포ㆍ전산ㆍ카드 등 가장 중요한 세 부문을 모두 정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그 자체로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임금부담으로 재무구조 악화=조흥은행 노조와 신한지주 측은 조흥은행의 임금수준을 올해부터 3년간 단계적으로 신한은행 수준으로 인상(1년차 30%, 2년차 30%, 3년차 40%) 하기로 했다. 또 100% 고용보장을 합의했기 때문에 인위적인 인력 감축도 불가능하다는 점이 더욱 큰 부담이다. 그러나 최근 경기하강으로 인해 은행의 이익은 크게 줄어드는 추세다. 전직원에 대해 일률적으로 임금을 높이면서 감원도 하기 어렵다면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조흥은행의 재무상태는 나빠질 수 밖에 없다. 적자를 낼 가능성도 있다. ◇ `화학적 통합`이 최대 과제= 조흥은행의 현 경영진은 본계약이 체결되는 25일 이전에 일괄사표를 제출할 예정이다. 재신임을 할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벌써부터 조흥은행이라는 큰 조직을 어떻게 끌어가야 할 지가 신한지주측의 고민으로 다가왔다. 앞으로 3년간 조흥은행의 은행장은 조흥은행 출신으로 선임하도록 노조측과 합의됐기 때문에 운신의 폭도 좁다. 특히 대등합병을 가장 큰 명분으로 내걸고 있는 조흥은행 노조측이 예정대로 2년 후 통합추진위원회를 만들어 실질적인 통합 협상을 시작한 후 다시 한 번 파업 등의 극단적인 수단을 쓸 수 있다는 점에서 불화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있는 셈이다. 따라서 신한지주 입장에서는 앞으로 통합추진 실무작업에 들어가기 까지 2년의 시간동안 조흥은행 직원들이 품고 있는 적대감 내지 이질감을 어떻게 해소하느냐가 가장 큰 숙제로 남게 됐다. <조의준기자 joyjune@sed.co.kr>

관련기사



조의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