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탈레반에 최후통첩

■ 보복공격 마지막 수순밟기우즈베키스탄등 국경에 지상군파견 본격화 9.11 테러' 보복 공격을 앞둔 미국과 영국이 외교적 정지작업을 일단락 짓고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탈레반 정권에 최후통첩 성격의 경고를 보내는 등 아프카니스탄을 상대로 한 전쟁이 마지막 수순을 밟아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규모 병력을 실은 미 군용기들이 우즈베키스탄에 도착하는가 하면 아프간이 미 정찰기에 대공포 사격을 가하는 등 아프간 주변지역의 긴장은 한껏 고조되고 있다고 미국 언론들이 6일 전했다. AP 통신은 6일 미국의 국기인 성조기를 단 수송기가 우스베키스탄 남부지역 한 공항에 도착하는 것이 목격됐다고 전했다. 미국 언론들은 이 항공기가 제10 산악사단 병력 1,000여명을 수송 했으며 이 지역에 배치될 병력이 수 천명 선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미군 병력과 시설의 보호, 비상사태 발생시 신속대응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비상사태'에는 빈 라덴 추적에 나선 특수부대원들이 탈레반 병력에 의해 포위되거나 사로잡힌 경우, 정찰 또는 공격임무에 나선 군용기와 인도적 지원물품 공수에 투입된 항공기가 격추되는 경우 등이 상정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인도적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한해 미군의 우즈베키스탄 내 공항 사용을 허가했지만 이와 같은 임무의 성격을 생각할 때 우즈베키스탄의 지상군 병력이 아프가니스탄과의 국경을 넘어 탈레반과 직접 교전을 벌이는 상황은 언제든 발생 가능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에 배치된 병력이 산악전투와 혹한기 임무수행에 능통한 부대 구성원들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미 CNN 방송은 미ㆍ영은 이미 300대 이상의 항공기와 크루즈 미사일을 탑재한 군함, 3만여명의 병력 등으로 이뤄진 91년 걸프전 이래 최대의 군사력을 아프간 공격권 내에 배치해두고 있어 언제든지 개전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미국과 영국이 이미 아프가니스탄을 상대로 상당한 수준의 군사활동에 돌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기독교 전파 혐의로 체포된 서방 구호요원 8명을 석방시키겠다며 타협의지를 보였던 탈레반 정권은 강경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탈레반은 최고 지도자 모하메드 오마르는 "미국은 목숨을 버리면서 공격하게 만든 근본 원인에 대응해야 한다"며 테러 치유책을 미국 자체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이와 함께 우즈베키스탄에 대해서도 탈레반 방송은 "우즈베키스탄 국경으로부터 어떤 공격이라도 가해질 경우 우리는 우즈베키스탄을 공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프가니스탄의 카불에서는 미군 정찰기로 보이는 항공기를 향해 탈레반의 대공포가 발사됐다. 탈레반 외무부는 미군정찰기 한대를 향해 대공포를 발사했으나 격추하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미국과 영국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사실에 고무된 아프간의 반(反) 탈레반 세력도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반군세력의 한 대변인은 서방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부 전략요충지인 마자르-이-샤리프 50㎞근처까지 북부동맹 병력이 진격했으며 곧 이 도시를 점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순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