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개성공단 정상화 이행 등 신뢰 구축에 달려

■ DMZ 평화공원 조성 가능성은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북한에 공식 제의하면서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DMZ 세계평화공원은 박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때 지역공약으로 내놓은 DMZ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구상을 발전시킨 것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5월 미국을 방문했을 때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세계평화공원 구상을 밝힌 데 이어 지난달 유엔군참전∙정전 60주년 기념식에서도 정전협정 당사국들에 참여를 제안하기도 했다.


과거 노무현 정권에서도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DMZ를 평화지대로 만든 후 남북이 공동으로 활용하자는 구상을 내놓았지만 김 위원장이 거부의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DMZ는 남측 80~90개, 북측 150~160개의 소초(GP)가 설치돼 있으며 북한의 170㎜ 자주포와 240㎜ 방사포 등 사거리 54~60㎞에 이르는 장사정포가 밀집된 곳이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해서는 남북 양측이 병력을 모두 철수시켜야 하는 만큼 상호 간의 신뢰구축이 필수적이다.

관련기사



이로 인해 '개성공단 정상화'가 얼마나 제대로 이행되느냐 여부가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실현에 있어서 중요한 선행요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남북관계에 있어 원칙과 신뢰, 비정상의 정상화 등을 강조해온 박 대통령의 대북 기조로 봤을 때 개성공단 정상화가 이뤄져야 그만큼의 신뢰가 쌓이면서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는 것이다.

북한에서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도 지난달 박상권 평화자동차 사장에게 "개성공단이 잘되면 DMZ 세계평화공원도 잘될 것"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통일전선부장은 "개성공단도 따지고 보면 DMZ 안에 있다. 개성공단이 잘돼야 DMZ에 공원을 만드는 것도 되든지 말든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북한 역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계획에 참여할 의사가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