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뉴삼성2006] <하> 기업사랑 선순환고리 만들자

"反삼성 국민정서 이젠 변해야"<BR>시민-기업-국가 상생의 관계로 전환할때 글로벌경쟁 지원 "삼성 서포터스 만들자"<BR>기업 이윤창출 통해 사회공헌 풍토 조성을

삼성그룹은 인간미가 물씬 풍기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사회의 그늘진 곳을 일일이 챙기고 있다. 삼성전자는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 노에서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와 공식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이 장애인올림픽을 후원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8,000억원짜리 수업료를 통해 우리 사회에도 기업 사랑의 선순환 고리를 만들자’ 삼성그룹이 지난 7일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밝힌 반삼성 대책은 단순한 현재의 악화된 여론을 누그러뜨리겠다는 대증요법이 아니라 ‘국민에게 사랑 받는 기업’으로 다시 태어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오랜 기간 1등주의에 매몰돼 있던 삼성 스스로가 기업역할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다는 선언이기도 하다. 삼성 스스로가 질타와 지적을 수용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하겠다고 나섰다면 다음 단계는 그동안 지나칠 정도로 삼성을 차갑게 대해온 국민정서가 변해야 할 차례다. 그동안 사회 각층에서 삼성을 질타하고, 비판했던 가장 큰 명분은 ‘상생’이다. 삼성이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하고 싶었던 진의는 어찌보면 우리사회에서 잘못 설정됐던 대기업과 중소기업, 기업과 시민, 기업과 국가 간의 ‘대척적인 관계’를 앞으로 ‘상생의 관계’로 전환하자는 제의이기도 하다. ◇백기투항이 아닌 사회협약= 이번 삼성의 반상성 대책을 놓고 일부에선 국민정서법에 대한 ‘백기투항’이라고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에 정경유착의 대표적인 사례가 ‘사재헌납’이었다는 것을 기억하는 사람들이라면 삼성이 내놓은 8,000억원과 소송 취하 등은 백기 투항으로 비쳐질만도 하다. 하지만 이 같은 시각 자체가 기업과 사회를 분리시키는 이분법적 잣대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우리사회는 이미 어느 일방을 무조건적으로 굴복시킬 수 있는 단순명쾌하고 권력집중적인 문화에서 벗어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로간의 양보와 합의가 이뤄낸 접점이 훨씬 더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선진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반삼성 기류는 그동안 우리 사회에 ‘반기업정서’라는 걸림돌을 만들었고 손을 맞잡아야 할 기업과 사회를 분리시켜 대립각을 만들었다. 그만큼 수치화하기 힘든 천문학적인 사회비용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삼성의 이번 대책은 국민정서법에 대한 항복 선언문이 아닌 다소 느슨해졌던 국민과 관계를 다시 회복하는 계기가 되고, 동시에 기업에 대한 국민적 인식전환의 계기가 돼야 한다. 다시 말해서 스웨덴 발렌레리 가문의 발트셰바덴 사회대협약과 같이 삼성의 이번 대책은 기업과 사회간 약속의 시작이 돼야 한다. ◇삼성 써포터즈를 만들자= 반삼성으로 삼성이 달라졌다면 이젠 삼성이 글로벌 경쟁에서 당당하게 이길 수 있도록 서포터즈를 만들자. 반삼성 대책 발표 이후 세간의 관심은 온통 8,000억원이란 거대한 돈에만 쏠려 있다. 어디에 쓸 것인가? 누가 관리하나? 정말 삼성이 아무 관여도 안하냐? 등등. 하지만 정작 중요하게 곱씹어볼 문제는 사회헌납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기업들의 절박함이다. 지금은 오히려 8,000억원에 대해 잊어버리는 것이 필요하다. 여론에 못 이겨 내놓는 사회기금이나 사회공헌 방침은 여론 무마용일뿐 기업과 사회의 동반 성장을 위한 약속이 되지는 않는다. 국가와 사회에 조건없이 헌납하겠다고 밝힌 만큼 삼성의 진정성을 믿고 우리 사회가 발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쓰이는 지만 지켜보면 된다. 재계 한 관계자는 “제주도에 수학여행을 오는 일본 학생들은 ‘I ♥ SONY’란 티셔츠를 별 꺼리낌 없이 입고 다니며 소니 디지털카메라로 사진을 찍는다”며 “이렇게 까지 요란을 떨 필요는 없지만 삼성뿐 아니라 우리기업에 대한 애정이 우리 경제를 성장시키는 동력이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기업의 목표는 이윤창출=기업의 1차 목표는 이윤창출에 있다. 이윤을 창출할 능력을 갖춰야 사회환원도 가능한 것이다. 이윤창출 없는 사회공헌은 공염불에 불과하다. 기업은 특히나 이윤의 사회환원에 앞서 고용과 투자라는 보다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기업이 이윤을 창출해 사회에 공헌한다면 사회는 기업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최대한의 조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국민정서’ 만을 내세워 기업을 옥죈다면 어느 누가 기업을 경영하고 이윤을 창출할 지 의문이다. 이수영 경총 회장이 전일 “기업도 스트라이크를 할 수 있다”란 말도 기업경영여건이 악화되고 경영권에 위협을 받는다면 떠날 수밖에 없다는 말로 해석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이다. 현재 삼성을 비롯한 기업을 둘러싼 각종 규제에 대해서도 이번 기회에 재점검돼야 한다. 다행히 최근 윤증현 금감위원장이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분리문제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해야 할 때라고 말한 점이나 공정위가 지주회사 전환조건을 완화하겠다고 밝히는 등 규제의 빗장이 조금씩 열릴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