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그랜저HG 배출가스 실내 유입 확인돼

그랜저HG 소유자들이 주장해온 차량 배출가스의 실내 유입이 사실로 확인됐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성능연구소는 24일 국토해양부에서 브리핑을 열고 최근 배출가스가 자동차 실내에 유입된다는 민원이 제기된 그랜저HG에 대해 제작결함 조사를 한 결과 주행 중 일산화탄소가 12.6~36.7ppm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조사 대상이 된 그랜저 HG는 2.4 GSL, 3.0 GSL, 3.3 GSL 등 3종류로, 모든 차종에서 정부가 허용하는 실내 기준치 10ppm을 넘어서는 일산화탄소가 확인됐다. 그랜저 이외에 출고 3년 이내의 차량 중 국산차 13종, 수입차 5종을 무작위로 선정해 실험한 결과 이들 차량에서도 대부분 일산화탄소가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차 중에 K5 2.0 GSL(21.0ppm), K7 3.0 LPG(17.9ppm), SM3 1.6 GSL(15.9ppm), 수입차 중에 미쯔비시 이클립스(70.7ppm), 벤츠 E350 GSL(25.4ppm) 등이 환경부의 실내 기준치를 넘어섰다. 조사 차량 중에 SM5 GLS만이 유일하게 일산화탄소가 검출되지 않았고, 수입차 중에는 아우디 A6 3.0T GSL의 검출량이 1.0ppm으로 적었다. 조사는 자동차 실내 공기조절장치 스위치를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내부순환상태로 놓고 시속 100~140km 속도로 약 30분 동안 급가속과 급감속을 반복하는 극단적 주행상황에서 이뤄졌다. 실내 공기조절장치 스위치를 바깥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순환 상태로 놨을 때에는 일산화탄소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주행속도 80km 이하에서도 배출가스 실내 유입 현상이 미미했다. 교통안전공단은 의료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실내에 유입된 일산화탄소의 유해성 여부를 판단해 내달 15일까지 결함 여부를 최종 판단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이번 조사와 관련해 그랜저HG에 '속도감응형 공기 자동순환 제어장치'를 추가로 적용해 배기가스 실내 유입을 차단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최근 무상수리를 통해 배기가스 유입을 차단하고 있으며 이 장치로 실내 배기가스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