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리빙 앤 조이] 이정범 감독 '열혈남아'

모성앞에서 갈등하는 '나쁜 남자'


‘열혈남아’의 주인공 제문은 우리가 그 동안 봐 왔던 ‘조폭영화’ 속의 주인공들과는 다르게 보인다. ‘비열한 거리’의 조인성이나 ‘친구’의 장동건처럼 잘 생기지도 않았고, ‘거룩한 계보’의 정재영처럼 의리가 있는 것도 아니고, ‘두사부일체’의 정준호처럼 정의감이 있어 보이지도 않는다. 오직 자신의 복수와 목적달성을 위해서 하이에나처럼 밑바닥을 핥으며 사는 사람. 차라리 제문은 ‘오아시스’의 종두 같은 양아치를 닮았다. ‘열혈남아’는 이런 사람조차도 모성 앞에서는 어쩔 수 없다는 단순한 메시지를 담는다. 비열하고 포악한 조직폭력배 중간 보스 제문(설경구). 세상에서 믿고 의지하던 단 하나의 친구가 상대편 조직의 중간보스 대식(윤제문)에게 죽임을 당하자 복수를 결심한다. 이를 위해 그는 신참 조폭 치국(조한선)을 데리고 제문의 고향인 벌교에 내려간다. 하지만 그곳에 있는 것은 대식의 어머니 점심(나문희)뿐. 대식은 점심에게서 죽은 어머니의 모습을 발견하고 그의 복수 계획은 조금씩 흔들린다. 영화는 자신을 아껴주는 어머니 같은 점심의 사랑에 갈등하면서도 묵묵히 복수를 향해 달려가는 제문의 모습을 비춘다. 스토리는 종종 삐걱댄다. 영화 속에서 제시되는 회상 장면만으로는 복수의 동기를 충분히 공감하기 힘들다. 등장하는 몇몇 에피소드만 봐서는 제문이 점심에게 모정을 느끼는 과정 또한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런데 배우들의 열연은 이런 허술함을 메우고도 남는다. 특히 점심 역의 나문희. 아들을 죽이러 온 남자를 이웃에게 ‘우리 둘째 아들’이라고 소개하는 그녀의 모습에서 진정성이 느껴진다. 진짜 어머니의 모습 같다. 설경구 또한 비열하면서도 마음 속 깊이 모성에 대한 갈증을 느끼는 풍운아의 모습을 멋지게 소화했다. 또 한명 눈 여겨 볼 배우는 조한선이다. 몰라볼 정도로 살을 찌워 건달 같은 모습으로 등장한 그에게서 ‘논스톱’에 나오던 청춘스타의 모습을 찾기는 힘들다. 영화 속에서 그는 진짜 배우처럼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