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계천 복원에 고려 할 점

서울시가 청계천 복원사업의 기본계획을 확정, 오는 7월부터 구조물 철거공사에 들어가 2005년까지 완공키로 했다. 이명박 시장은 `불도저 시장`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자신의 최대 선거공약 사업인 청계천 복원사업을 과단성 있게 추진하고 있다. 건설기술과 공법의 발달에 의해 이 정도의 공사기간으로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건설회사 사장시절의 이윤추구를 위한 공기단축 개념이 청계천 복원과 같은 국가 백년대계와 관련된 사업에 그대로 적용돼서는 안 될 것이다. 보완할 점은 공기에 얽매이지 않고 보완해 나가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기술상으로 고려할 것 가운데 현재 50년으로 돼 있는 홍수설계빈도를 가능한 한 넓게 잡아 범람에 대비해야 한다. 기상이변으로 몇 백년만의 홍수가 발생하는 현실에서 서울 도심하천이 범람하는 재앙은 없어야 한다. 또 하나 지적할 것은 하천 물의 지하침수를 막기위해 하천바닥에 차수막을 설치토록 계획돼 있는데 이보다는 지표로부터의 침투수가 없이 지하수만 뽑아 써 사막화 돼 있는 도심 지하의 땅에 청계천이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하는 방안은 없느냐는 점이다. 청계천을 복원한다는 것은 도시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작업이다. 어둠과 악취로 차있는 죽음의 공간인 복개공간을 맑은 물이 흐르고 물고기와 풀이 자라는 생명의 공간으로 바꾸는 일이다. 서울시가 미리 그리고 있는 복원된 청계천의 모습을 보게 되면 이 사업을 반대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현실의 이해관계에 부닥치면 생각은 달라질 수 있다. 그 중 첫째가 교통문제다. 아직 공사가 시작되지 않아 실감을 못하고 있지만 공사가 착공되면 심각한 문제로 부각될 것이다. 하루 차량 18만대의 통행이 정지되는 상황인 만큼 교통대란은 피할 길이 없다. 서울시가 제시한 대안만으로는 불만을 해소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아무리 청계천 복원이 `차량에서 사람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전제로 한 것이라지만 감내할 수준을 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역사와 문화 그리고 경제가 어우러진 도심의 기능을 살리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현재도 청계천변은 도심 경제권으로 막중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경제권을 어떻게 업그레이드 시키느냐는 문제는 상인들의 권익보호와 직결돼 있기도 하다. 문화의 복원과 관련, 새로 설치되는 20여개의 교량공사에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지혜를 발휘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 고증을 통해 복원이 가능한 광교와 수표교 오간수다리 등은 최신 공법을 총 동원해서 최대한 원형을 살려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리 상판을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자재를 사용해 물위를 걷는 기분이 나게 하는 다리도 하나쯤 놓아졌으면 한다. <김영기기자 young@sed.co.kr>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