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급감하는 청소년

저출산 탓 50년후엔 절반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서 청소년 수가 급감해 50년 뒤에는 현재의 절반으로 줄 것으로 예상됐다.

7일 여성가족부가 발간한 '2012 청소년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청소년(9~24세) 인구는 1,02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20.4%를 차지했지만 50년 뒤인 오는 2060년에는 501만명(11.4%)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청소년 인구는 지난 1980년 1,401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36.8%를 기록한 이래 출산율 감소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2015년까지 약 85만명의 청소년 인구가 줄어들고 2015~2020년까지 5년 동안 120만명이 더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청소년 인구는 2015년 960만명대(19%)로 떨어진 뒤 2030년 715만명(13.7%), 2050년 595만명(12.4%) 수준으로 급감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결국 2060년에는 현재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는 501만명(11.4%)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관련기사



청소년 인구의 연평균 감소율은 향후 10년간 2%대로 높게 나타나다가 이후 감소폭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나 2055년 이후 연평균 1.46%씩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청소년 인구 구성비는 19∙20세가 각각 6.9%로 가장 많았고 9세 인구가 4.7%로 청소년 인구 중 가장 적었다.

이 때문에 총 인구 증가율은 현재 1%대의 낮은 수치에서 2015년까지는 연평균 0.49%로 하락해 2031년부터는 마이너스 인구 성장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2055~2060년에는 연평균 0.94%씩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여자 100명당 남자를 의미하는 성비를 보면 전체 인구의 성비가 100.3명인데 반해 9~24세 청소년 인구의 성비는 111.7명으로 청소년의 남녀 성비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