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본사위치 그래도 서울이 좋아요”

“집 사주고 봉급 올려 준데도 서울 떠나기 싫다는데야 그냥 눌러 앉아야지요” MP3플레이어 제조사 레인콤은 최근 서울 강남 본사를 천안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다가 직원들의 반대와 신규채용에 어려움이 예상돼 백지화했다. 이 회사는 최근 급성장하면서 매출, 종업원 등이 법으로 규정한 중소기업 범위에서 벗어나 내년부터 각종 세제혜택을 받지 못한다. 하지만 본사를 지방으로 이전하면 각종 법인세 과세특례 혜택을 받아 100억원 이상의 세금을 감면 받을 수 있다. 싼 땅값과 임대료 등을 빼더라도 회사를 지방으로 이전하는 것만으로 순이익이 100억원 이상 늘어나는 셈이다. 이에 따라 회사측은 본사 지방이전에 따른 아파트 무상임대, 연봉인상 등의 조건을 내걸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도 실시하고, 향후 사업성 및 인력채용 방안 등을 검토했지만 결국 없던 일로 하기로 했다. 양덕준 레인콤 사장은 “젊은 직원들이 회사를 지방으로 이전하면 이성교제 기회가 줄어들고, 각종 문화생활도 즐기기 어려워진다는 이유로 지방이전을 반대한다”며 “특히 젊은 연구인력들이 지방소재 기업을 꺼리기 때문에 새로운 고급인력을 채용하기가 더욱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결국 지방이전을 포기했다”고 설명했다. 본사를 지방으로 이전하고 싶어하는 기업은 비단 레인콤 뿐만이 아니다. 하지만 아무리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하더라도 직원들이 반대하고, 능력있는 인재들이 지방소재 기업을 외면하기 때문에 지방이전을 포기하는 기업이 부지기수다. 실제로 지난해 강남의 본사를 지방으로 옮기려다 포기하고 구로공단으로 회사를 옮긴 U사의 K사장은 “지방이전은 커녕 구로공단으로 옮기는데도 직원들을 설득하기 참 힘들었다”면서 “서울 강남 지역은 금융, 교통, 문화 등의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있는 반면, 지방은 이 같은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해 사실 매력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수도권 과밀현상을 해소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종 지원정책을 내놓고 기업의 지방이전을 유도하고 있지만 이처럼 현실과는 거리가 멀다. 구체적인 인력수급방안과 종합적인 인프라 구축 없이 기업의 지방이전을 독려하는 것은 결국 공염불에 불과한 것이다. 중소기업연구원의 송장준 박사는 “기업이 지방으로 옮기면 당장 인력수급에 문제가 생기고, 정책ㆍ금융 등의 네트워크도 서울 중심이어서 결국 다시 서울로 올라와야 한다”면서 “산ㆍ학ㆍ연을 통한 인력지원책과 주요기관의 지방이전을 통한 종합적인 인프라 건설이 선행돼야 기업의 지방이전이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형기자 kmh204@sed.co.kr>

관련기사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