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천 소래IC 설치 “9년째 제자리”

96년 인천시-도로공사 협약서 체결 불구<br>요금징수 둘러 싸고 주민·관계기관 대립<br>인천시 인근 교차로 입체화등 대안 제시도



인천시와 도로공사, 주택공사가 대규모 주택단지가 잇따라 들어서고 있는 인천 소래지역을 통과하는 영동고속도로에 나들목(IC)을 설치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9년째 공방을 벌였지만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21일 인천시와 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인천시와 한국도로공사가 내년말까지 1만8,000가구가 입주할 예정인 논현2지구와 영동고속도로를 연결하기 위해 지난 96년 12월 소래 IC를 설치하기로 협약서를 체결했지만 주민들과 관계기관들의 이혜관계가 대립, 아직까지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방치하고 있다. IC가 설치될 예정인 이 지역 인근에는 논현2지구(77만평)에 이어 한화지구(72만평), 소래지구(9만8,000평), 수도권 해양생태공원(105만평)등이 조성돼 정주인구와 유동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늘어나는 교통수요를 감안해 IC를 설치해야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도로공사는 IC를 설치할 경우 영업소(톨게이트)를 설치해 요금을 징수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IC가 설치될 경우 짧은 거리를 무료로 이용하는 차량들의 유입으로 고속도로 본선 정체가 심화돼 영업시설 설치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주택공사는 IC설치에는 찬성하지만 영업소 설치는 불가능 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주민들의 의사도 위치에 따라 갈라지고 있다. 소래포구 상인들은 설치에 찬성하지만 인근지역 주민들은 소음피해 등을 우려 반대하고 있다. 9년째 해결이 되지 않자 인천시는 IC를 설치하지 않는 대신 제3경인고속도로와 원활한 접근을 위해 호구포길의 입체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최근 도로공사에 제시하기도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소래 IC를 설치하지 못 할 경우 교통개선 대책에 호구포길 청능로 교차로를 입체화 하고 논고개 길을 현재의 25m에서 30m로 확장하고 소래대교 차선도 4차선에서 6차선으로 늘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택공사도 “지난해 9월 소래 IC 타당성 및 대안을 검토하기 위해 인천발전연구원에 용역을 의뢰 한 결과 IC설치 목적에 부합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 일원(교통광장) 3만3,000평에 들어설 예정인 이 인터체인지 건설에는 378억원이 투입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