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술인력이 성장동력이다] 정부·경제단체 프로그램도 다양

산자부·상의등 교육과정 개설 "지원학생 비해 참여기업 부족"

정부와 경제단체에서도 맞춤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관련 프로그램을 꾸리거나 예산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적극 나서고 있다. 다만 사업이 아직은 대기업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점이 아쉬운 점이다. 산업자원부가 올해부터 실시중인 ‘공학교육과정 개편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총 41개사가 10개대학 교육과정에 참여, 각 기업마다 20~40명의 학생을 직접 가르치고 있다. 세부적으론 기업이 현장실습ㆍ인턴쉽과 함께 기자재ㆍ실습장을 제공하고 수료한 학생을 채용하는 방식이다. 대학은 교과과정을 개편하거나 신설한다. 삼성전자가 성균관대와 함께 반도체 부문 인력육성 과정을 시작했으며 LG필립스LCD가 연세대와 디스플레이 과정을 진행중이다. 그외에도 노키아TMCㆍ오토텍ㆍ세영 등 중소ㆍ중견기업들이 모여 경남대에 개설한 마산자유무역지역 트랙개발을 위한 제조IT 연계 전공과정도 주목된다. 예산은 컨소시엄당 정부가 50%, 기업 및 대학이 각 25%씩 부담한다. 산자부는 내년에 14개 과정으로 늘여간다는 계획이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지난해부터 진행하고 있는 대학생 산학협동교육 프로그램도 관심이다. 기업과 대학이 협약을 체결하고 학생들은 기업현장에서 5개월간 연수를 마친 후에 8~15학점을 이수하는 게 골자. 지난해 1ㆍ2기에 총 133개 기업이 참여한 데 이어 올해는 186개, 내년에는 260개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대학측 지원학생에 비해 아직 참여기업수가 부족하다”며 “학생들이 취업시 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게 공신력 강화 등 제도를 보완중”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