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법원행정처는 대법관 승진 코스?

역대 56명 가운데 60% 이상 배출… "판사 통제" 비판도

역대 대법관의 60% 이상이 법원행정처 출신으로 나타났다. 법원행정처가 고위법관으로 가는 승진 코스처럼 여겨지면서 법원행정처가 이를 이용해 판사들을 통제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법원행정처는 법관 3,000여명의 인사를 하고 예산을 정하는 법원 행정조직이다. 처장은 대법관 가운데 1명이 맡는다. 현재 고등부장판사급 3명, 지방법원 부장판사 7명, 단독판사급 심의관 24명 등 총 34명의 판사가 대법원장의 지휘를 받아 행정업무를 한다.

관련기사



2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서기호 무소속 의원이 법원행정처로부터 제출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대법원장과 현재 공석인 대법관 1명을 제외한 12명의 대법원 구성원 중 9명이 법원행정처 출으로 집계됐다. 또한 1987년 이후 임명된 역대 대법관 56명 가운데 61%인 27명의 대법관이 법원행정처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임명되지 않은 김소영 대법관 후보자도 2008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총괄심의관, 2009년 법원행정처 정책총괄심의관으로 근무한 적이 있어 김 후보자가 대법관으로 임명되면 현재 법원행정처 출신 대법관 비율은 70%에 이른다.

서 의원은 "법원행정처가 고위법관이 되기 위해 거쳐야 하는 필수코스가 되면서 일선 판사들은 승진을 위해 법원행정처의 눈치를 보고 법원행정처 또한 이 점을 이용해 판사들을 통제하려고 하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서 의원은 법원행정처에서 근무하는 판사들이 재판업무는 배제한 채 행정업무만 담당하고 있어 국민이 재판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침해될 수도 있다고 꼬집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