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 노조·정관계인사 칼대나" 촉각

수사지휘 중수부로 전환<BR>비리단서 상당량 확보…대대적 사정 가능성

대검 중앙수사본부(검사장 박상길)가 기아차 노조의 채용비리 사건의 수사지휘를 맡게 된 것을 계기로 대기업 노조의 구조적 비리는 물론 연루된 정ㆍ관계 인사에 대한 본격 수사에 나설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송광수 검찰총장이 지난 25일 기아차 채용비리의 수사지휘부를 대검 형사부에서 중수부로 바꾸도록 직접 지시한 데 대해 중수부는 일단 “다른 뜻은 없다”며 의미확대를 경계했다. 하지만 채용비리 사건이 그동안 잡음이 끊이지 않던 대기업 노조의 고질적 비리라는 점과 함께 정ㆍ관계 인사 연루단서 등이 나오고 있어 중수부가 아예 수사팀을 꾸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대선자금 불법수수 사건의 경우에도 당초 서울중앙지검 형사9부가 SK글로벌의 비자금 사건을 수사하다 대선 불법자금의 단서가 튀어나오자 대검 중수부가 직접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광주지검 역시 노조 채용비리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정ㆍ관계 인사 연루 혐의를 잡았고, 이 때문에 급히 수사지휘 체계를 형사부에서 중수부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검찰이 광주뿐만 아니라 서울 본사, 광명공장 등 수사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있는 점도 중수부가 수사지휘에 나선 이유로 분석된다. 뿐만 아니라 검찰은 그동안 인사청탁뿐만 아니라 자금횡령ㆍ선거부정ㆍ납품청탁 등 대기업 노조의 비리 관련 제보나 단서를 상당량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터진 기아차 노조의 채용비리 사건을 계기로 중수부가 대기업 노조 전반의 비리에 대해 일제히 메스를 가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날 김대환 노동부 장관은 열린우리당과의 당정협의회에서 ‘기아자동차 채용비리’와 관련, “원칙보다는 편의, 법보다는 이해타산의 결탁이 있었기 때문에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결국 중수부로의 수사지휘 전환은 이 같은 청와대와의 교감 속에서 대대적인 노조 사정을 염두에 둔 포석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