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조깅하고 나니 저릿한 발바닥, 바로 '족저근막염'

조깅 외에 마라톤, 등산도 유발할 수 있어

체외충격파, 족저근막염 통증 치료에 효과적


조깅이나 마라톤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 중에는 발바닥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무래도 다른 사람들보다 발바닥을 자극하는 활동이 잦다 보니, 그 부분의 근육이나 인대가 손상을 입는 것이다. 이러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

족저근막은 발바닥의 아치 형태를 유지하고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두꺼운 막을 말한다.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 족저근막이 반복적으로 자극을 받으면 붓거나 염증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족저근막염이다.


세바른병원 강서점 부기현 원장은 “조깅이나 마라톤, 등산처럼 수시로 발바닥을 자극하는 스포츠는 족저근막염의 주요 발병원인이다. 또한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깔창 등으로 인해 발에 지속적으로 압박이 가해질 때도 발병하기 쉽다”고 설명했다.

주된 증상은 아침에 잠에서 깨어 발바닥을 내디딜 때 나타나는 찌릿한 통증이다. 보통 발꿈치 안쪽 부분에 통증이 심한데, 이는 가만히 서있거나 걸을 때 모두 나타나므로 일상생활에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한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통증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별 다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조기에 병원을 찾기란 쉽지 않다.


다행히 족저근막염의 상태가 심각하지 않다면 발을 자극하는 운동을 삼가고, 지나치게 굽이 높거나 낮은 신발은 피하는 것만으로도 상태가 호전될 수 있다. 또한 신발 안쪽에 보조기를 넣어 착용하는 것도 효과를 볼 수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러한 보존적 치료를 상당 기간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체외충격파 치료를 권할 수 있다.

체외충격파는 피부 바깥에서 병변 부위에 충격파를 전달하여 손상된 인대와 조직을 자극하는 치료법이다. 족저근막염의 경우 발바닥에 직접 적용하면 혈관 재생을 도와 통증을 완화시켜 준다. 족저근막염 외에도 오십견이나 회전근개파열 등 다른 관절질환에도 체외충격파는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세바른병원 강서점 부기현 원장은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20분 내외로 짧고 입원이나 별도의 회복기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고, 시술 후 바로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므로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고 전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위 기사는 해당업체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