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T사장 인선작업 진통

이석채씨 정관상 자격 논란<br>전문경영인 후보군 재부상

KT 사장 인선작업이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당초 유력한 후보였던 이석채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경쟁사 출신 제한 규정 논란에 휩싸이면서 전 정통부 출신과 전문경영인 중심의 후보군이 다시 떠오르는 등 혼전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아무도 뚜렷한 우위를 점하지 못해 사장추진위원회가 새로운 사장을 물색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18일 KT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KT 사추위는 당초 이번주 초 사장 후보 추천을 마칠 계획이었지만 가장 유력했던 이 전 장관이 경쟁관계에 있는 SK그룹 지주회사인 SKC&C의 사외이사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난관에 부딪쳤다. 이에 따라 사추위는 정관상 제한 규정인 ‘경쟁관계’의 범위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를 놓고 재검토를 벌이고 있지만 이를 확대 해석할 경우 ‘특정인 사장 만들기’ 논란에 휩싸일 수 있어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이 전 장관이 주춤하자 전문경영인을 중심으로 한 새 사장 후보군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하마평에 오른 후보는 LG데이콤 사장을 지냈던 정규석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원장과 김홍구 전 정보통신기술협회 사무총장. 하지만 정 원장은 추진력이, 김 전 사무총장은 KT 출신이라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밖에 김창곤 전 정통부 차관도 등장했지만 현재 LG텔레콤 고문이기 때문에 자격제한 규정에 걸릴 가능성이 높고 이상철 전 정통부 장관은 사장 추천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뚜렷한 사장 후보가 없는 셈이다. 상황이 이처럼 꼬이자 일각에서는 사추위가 헤드헌터나 자체 직권으로 사장 후보를 다시 물색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사장 선임은 다음주 이후까지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 다른 한켠에서는 문제가 되는 정관을 바꾸는 작업을 벌일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지만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정관 변경을 위해서는 주주총회를 열어야 하는데 이미 사장 선임건과 관련된 임시주총이 예정된 상황이기 때문에 신임 사장이 내정되기 전에 정관을 개정할 수는 없다. 단 정관 개정과 동시에 신임 사장을 의결할 수 있지만 이때는 ‘특정인 밀어주기’라는 얘기가 나올 수 있어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KT의 한 관계자는 “KT는 대한민국 통신업계를 대표하는 만큼 사장도 그만큼 중량감 있는 인물이 와야 한다”며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인물에 하자가 있을 경우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