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의료관광특구제 도입을"

지역 관광자원·의료 서비스 연계<br>'국가재정운용' 토론회

의료관광을 지역 관광자원과 연계하는 ‘한국형 의료관광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의료관광특구제도를 도입해 의료관광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획재정부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지난 25일 한림대에서 개최한 ‘2009~2013 국가재정운용계획 문화ㆍ체육ㆍ관광 분야’ 토론회에서 의료관광을 육성하기 위한 대책으로 이 같은 의견을 내놓았다. 작업반은 의료관광특구제도의 시범적 도입을 통해 지역 관광자원과 의료 서비스가 융합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유지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관광개발 측면에서 의료관광특구제도를 시범적으로 도입해 지역의 관광자원과 의료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성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며 관련 법제를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료관광 전문여행사 및 알선회사 등을 허용하고 의료관광호텔 등의 개발 관련 지원 근거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방 의료관광의 육성도 강조됐다. 대도시 병원 중심의 해외 환자 유치와 달리 한방의 경우 대부분 지방 및 생태환경이 우수한 지역에 위치해 한방의료관광타운 같은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의료관광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했다. 또 의료관광을 단순한 의료 서비스의 차원을 넘어 스파나 대체의학ㆍ한방에 기반한 보양 등의 개념으로 확대시키고 지역의 관광자원과 연계시키는 모델을 적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금렬 보건복지가족부 보건산업정책과장은 “의료관광 산업은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는 시장실패를 치유하는 쪽으로 정책 지원을 해야 한다”며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의료기술이 세계적으로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홍보전략을 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규옥 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은 “의료관광은 고용을 창출하는 신성장동력으로서 정부가 역점을 두고 육성할 분야”라면서 “의료관광산업이 성장하려면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정부의 규제를 합리적으로 완화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