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그나마 환율급락 덕분에…

10원떨어지면 휘발유값 ℓ당 3원 하락<br>유가급등 상쇄 석유류값 상승 억제효과

원화환율이 10원 떨어질 때마다 국내 휘발유 가격이 ℓ당 3원 가량 하락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최근 환율급락이 중동산 두바이유 가격급등을 상당 부분 상쇄, 국내 석유제품 가격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4일 산업자원부가 내놓은 ‘국제유가 동향과 대책’에 따르면 환율 10원 하락은 달러화로 결제되는 원유 수입시 ℓ당 3원(정유사 공장도가격 기준)의 인하효과를 가져오며 이는 환율을 감안할 경우 유가가 크게 올랐던 지난해 8월보다 최근 휘발유 가격이 ℓ당 약 39원 낮아지는 효과를 낳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지난해 8월 넷째주 평균환율은 1,165원38전으로 지난달 셋째주의 1,035원42전과 비교했을 때 129원96전이나 높았으며 국내 주유소 휘발유 평균가는 지난해 8월 ℓ당 1,394.91원으로 지난달 평균 1,349원16전보다 45원75전이 높았다. 결국 두바이유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가 행진을 계속하면서도 국내 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오히려 지난해 8월보다 45원75전 낮은 것은 이중 39원 가량이 환율하락 효과 때문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산자부는 국제유가 상승이 기업의 제조원가 및 가계의 소비지출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하지만 최근에는 이처럼 환율하락이 유가상승을 크게 상쇄하는데다 석유의존도와 석유수입액의 국내총수입 비중도 줄어드는 추세여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지난 80~90년대보다 크게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최수문기자 chsm@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