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당 공천 갈등… 이상득-이재오 2인자 대결?

이재오 '李부의장 용퇴론'에 정두언등 힘보태<br>李대통령 '형님' 엄호땐 이재오 수세 몰릴수도

한나라당 공천 갈등의 불길이 24일 이명박 대통령 친형 이상득 국회 부의장과 이재오 의원 간 ‘실세’ 대결로 옮겨 붙고 있다. 전날 박근혜 전 대표가 당 공천 책임론을 제기하며 총선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 공천 갈등의 절정이자 총선을 전후한 권력 게임이 폭발하는 매개가 됐다. 특히 당 공천과 첫 조각(편중인사)으로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면서 ‘책임론’을 둘러싸고 권력투쟁이 조기에 가시화된 느낌이다. 당내에서는 이 부의장을 중심으로 이방호 사무총장 등이 합쳐진 그룹에 이 의원을 고리로 정두언 의원 등이 합세한 소장파가 공세적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표의 공천 책임론으로 촉발된 이번 권력투쟁을 ‘이(李)-이(李) 2인자 대결’로 해석한다. 공세는 이 의원 측이 먼저 시작했다. 그의 한 측근은 “이 의원이 총선 불출마를 검토 중이며 이 부의장의 거취 문제를 포함해 당내 화합 방안을 고심 중”이라고 전했다. 이 부의장 용퇴론에는 정 의원과 권택기 후보 등 이 대통령 직계 라인이 힘을 보태고 나섰다. 여기에는 대통령 친형의 원내 진입이 수도권 표심에 치명타로 작용하고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수도권의 한 출마자는 “10%포인트 이기던 선거가 ‘형님 공천’ 파동 이후 오차 범위 내로 들어왔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이 부의장이 내각 구성과 공천에 깊숙이 개입, 새 정부와 총선 구도를 망쳤다는 시선이 깔려 있다. 누군가 책임져야 하고 그 누군가가 새 정부의 최고 실세인 이 부의장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표면적 이유 외에도 최근 이 의원과 정 의원 등 이른바 정권 실세들의 입지 축소가 권력투쟁의 중요한 발단이 됐다는 관측도 있다. 실제 이 부의장이 이명박 정부 초기 인사에 지나치게 개입하고 이 의원 등 실세 그룹을 과도하게 견제한다는 지적이 흘러나왔다. 더구나 이 의원이 기획 공천을 주도한 ‘공공의 적’으로 낙인 찍히면서 앞으로의 행보를 위해서는 이를 이 부의장 쪽으로 돌리면서 털고 넘어가려는 포석으로 볼 수도 있다. 물론 이 의원 자신의 불출마를 함께 고리로 걸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 의원은 지역구 판세가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에게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나 의원직에 연연하기보다 당의 화합을 명분으로 내걸고 재보궐 선거 등 총선 후 새 그림을 그려보겠다는 방안을 고려해볼 만하다. 이 의원은 지난 2006년에도 서울시장에 출마했다가 판세가 불리한 상황에서 당 대표 출마로 방향을 선회한 바 있다. 반면 이 부의장은 다소 수세적 입장이다. 그는 이날 “출마를 막으려는 불순한 정치적 목적에 동의할 수 없다. 공천과 인사 개입설은 사실무근”이라고 불쾌해 했지만 “당에서 공천을 바꾸겠다면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 부의장은 “어려울 때 조정을 할 사람이 필요하다”며 자신의 역할을 내세운다. 특히 이 부의장은 이번 총선에 나서지 않으면 사실상 정치에서 은퇴해야 한다는 점이 부담이다. 이런 이유에서 이 대통령이 ‘형님’을 적극 엄호할 경우 이 의원 측이 거꾸로 수세에 몰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내에서는 이 부의장의 거취가 곧 이 대통령의 의중이며 2인자 대결의 결론도 여기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다. 친이(親李)뿐 아니라 박 전 대표와 강재섭 대표가 각자 움직이며 총선 후를 겨냥하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전날 당권 재도전을 시사했고 강 대표는 총선 과반수 달성 여부로 평가받겠다고 선언해 오는 7월 전당대회와 차기 대권을 둘러싼 거물들의 힘겨루기가 조기에 과열되는 양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