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할리우드 대공습에 맥못추는 한국영화

'겨울왕국' 1,000만 관객 이어 '캡틴 아메리카' 등 흥행질주

관객 점유율 절반 아래로 뚝

美 대작 줄이어 반전 쉽잖을 듯

지난 3월30일 서울시내 한 극장에서 영화관람객들이 표를 구입하고 있다. 스크린에 걸린 작품은 할리우드 영화 일색이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공습에 한국영화가 비상이다. 국내 영화시장에서 한국영화 관객점유율이 4년만에 처음으로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연초 '렛잇고' 신드롬을 타고 '겨울왕국'이 관객 1,000만을 넘어서고 최근 '캡틴 아메리카:윈터솔저'와 '노아'가 박스오피스 1~2위를 질주하고 있는 반면 한국영화는 맥을 못추고 있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신작들이 잇따라 대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전망도 밝지 못하다.

3일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올들어 4월2일까지의 한국영화의 국내 영화시장 관객점유율은 48.9%에 그쳤다. 한국영화 점유율이 절반 아래로 내려간 것은 지난 2010년(46.6%) 이후 4년만에 처음이다. 한국영화 점유율은 2011년 51.9%를 기록한 후 2012년 58.8%, 2013년 59.7%로 줄곧 상승세를 그어왔다. 지난해 1월~4월2일은 69.2%나 됐다.

올들어 한국영화 비중이 줄어든 것은 미국 할리우드 영화의 득세에서 비롯됐다. 미국영화는 지난 2010년 46.5%로 고점을 찍은 후 지난 2012년 34.3%까지 떨어졌다가 올해 들어 44.8%로 다시 올랐다. 할리우드 영화에는 입장권 가격이 비싼 3Dㆍ4D 영화가 대거 포함돼 있어 매출 점유율은 더 높다. 올해 들어 한국영화 매출점유율은 47.5%에 불과한 반면, 미국 영화는 46.6%에 이른다.


연초부터 할리우드 영화의 득세는 확연하다. '겨울왕국'이 올들어 처음으로 1,000만 관객을 돌파(4월2일 현재 1,028만명)한 이후 '논스톱'(208만명), '노아'(182만명), '캡틴 아메리카'(176만명), '300:제국의 부활'(159만명), '폼페이:최후의 날'(137만명)이 잇따라 100만명 선을 넘었다. 한국영화의 경우 올해 기준으로 '수상한 그녀'(864만명), '변호인'(568만명), '남자가 사랑할때'(197만명) 등을 기록했기는 하지만 대부분 현재 스크린을 내렸거나 내리기 직전으로, 최근 흥행몰이하는 영화가 없다. 지난 한주간(3월 27일~4월2일) 흥행 톱5는 '캡틴 아메리카'(160만명), '노아'(45만명), '우아한 거짓말'(28만명), '그랜드부다페스트호텔'(18만명), '논스톱'(4만명)으로 할리우드 영화가 싹쓸이한 상태다.

관련기사



할리우드 영화의 이런 강세는 블록버스터급의 대규모 물량공세가 성공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박스오피스 1위인 '캡틴 아메리카'의 경우 최근 '어벤저스2'의 서울내 촬영을 통한 반사효과를 보고 있다. 시내 교통통제 등 국내에서 논란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이 영화내 주인공중의 하나인 '캡틴 아메리카'에 대한 입소문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국영화의 부진도 한몫하고 있다. '수상한 그녀'가 대박을 친 후 후속 흥행작이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김희애의 20년만의 스크린 복귀작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우아한 거짓말'이 할리우드 영화들 속에서 외롭게 분투하고 있을 뿐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들이 잇따라 대기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영화의 기대작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4월에는 '헤라클레스', '다이버전트', '어메이징 스파이드맨2' 등이, 이후로도 '고질라' '트랜스포머4' 등이 줄줄이 예고돼 있다. 한국영화는 장혁ㆍ조보아 주연의 '가시', 정재영ㆍ이성민의 '방황하는 칼날'이 준비돼 있으나 무게가 다소 약하다. 4월말 현빈 주연의 '역린' 등 대형 사극들이 개봉하기 시작하는 것이 그나마 기대를 가지게 한다.

업계 관계자는 "연초 할리우드 대작 영화들이 한꺼번에 들어오면서 국내 영화시장에 쏠린 감이 있다"며 "사극 대작들이 개봉하면 어느 정도 균형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