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총리는 이날 오전 내각회의 후 발표한 담화에서 “식민지 지배로 초래된 많은 손해와 고통에 대해 다시 한번 통절한 반성과 사죄의 심정을 표명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8면
이에 대해 외교통상부는 “새 한일관계를 개척해나가려는 일본 정부의 의지로 받아들인다”며 환영 논평을 내놓았으나 근로정신대 지원단체와 시민단체들은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간 총리는 이어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는 용기와 이를 인정하는 겸허함을 갖고 스스로의 과오를 되돌아보는 데 솔직하게 임할 것”이라며 “앞으로의 100년을 바라보면서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구축해가겠다”고 말했다.
간 총리는 이를 위한 노력의 하나로 “일본 통치기간에 조선총독부를 거쳐 반출돼 일본 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조선왕실의궤’ 등 한반도에서 유래한 귀중한 도서를 가까운 시일에 반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그는 “재(在)사할린 한국인 지원, 한반도 출신자의 유골반환 지원 등 인도적 협력을 앞으로도 성실히 실시해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 간 총리는 “한일 양국은 21세기에 민주주의 및 자유ㆍ시장경제라는 가치를 공유하는 가장 중요하고 긴밀한 이웃국가”라며 “커다란 역사의 전환점에서 양국 유대관계가 더욱 깊고 확고해지는 것을 강하게 희구함과 동시에 미래를 위해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간 총리가 내놓은 담화문 내용을 두고 한국과 일본 양국은 내부에서 평가가 엇갈렸다. 한국에서는 정부가 환영의 뜻을 밝힌 것과 달리 시민단체 등은 “언어적 수사에 그친 게 아쉽다”며 실망감을 표시했다. 일본에서는 자민당과 보수우익단체 등이 담화문 내용은 물론 발표 자체에 반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