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간 총리 “한국인 뜻에 반(反)한 식민지배…통절한 반성ㆍ사죄”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가 10일 한일 강제병합 100년을 맞아 발표한 담화에서 “3ㆍ1독립운동 등 격렬한 저항에서도 나타났듯이 당시 한국인들은 그 뜻에 반(反)해 이뤄진 식민지 지배로 국가와 문화를 빼앗기고 민족의 자긍심에 깊은 상처를 입었다”며 병합 및 식민지배의 강제성을 부분 인정했다. 그러나 한일 강제병합이 원천무효라는 표현은 일절 없었다.

간 총리는 이날 오전 내각회의 후 발표한 담화에서 “식민지 지배로 초래된 많은 손해와 고통에 대해 다시 한번 통절한 반성과 사죄의 심정을 표명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8면


이에 대해 외교통상부는 “새 한일관계를 개척해나가려는 일본 정부의 의지로 받아들인다”며 환영 논평을 내놓았으나 근로정신대 지원단체와 시민단체들은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관련기사



간 총리는 이어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는 용기와 이를 인정하는 겸허함을 갖고 스스로의 과오를 되돌아보는 데 솔직하게 임할 것”이라며 “앞으로의 100년을 바라보면서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구축해가겠다”고 말했다.

간 총리는 이를 위한 노력의 하나로 “일본 통치기간에 조선총독부를 거쳐 반출돼 일본 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조선왕실의궤’ 등 한반도에서 유래한 귀중한 도서를 가까운 시일에 반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그는 “재(在)사할린 한국인 지원, 한반도 출신자의 유골반환 지원 등 인도적 협력을 앞으로도 성실히 실시해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 간 총리는 “한일 양국은 21세기에 민주주의 및 자유ㆍ시장경제라는 가치를 공유하는 가장 중요하고 긴밀한 이웃국가”라며 “커다란 역사의 전환점에서 양국 유대관계가 더욱 깊고 확고해지는 것을 강하게 희구함과 동시에 미래를 위해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간 총리가 내놓은 담화문 내용을 두고 한국과 일본 양국은 내부에서 평가가 엇갈렸다. 한국에서는 정부가 환영의 뜻을 밝힌 것과 달리 시민단체 등은 “언어적 수사에 그친 게 아쉽다”며 실망감을 표시했다. 일본에서는 자민당과 보수우익단체 등이 담화문 내용은 물론 발표 자체에 반대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