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주택시장 훈풍 부나

아파트 거래 4년만에 최대… 2분기 가격 상승 전망

주택시장에도 봄바람이 부는 것일까. 4ㆍ1 대책 발표의 영향으로 4월 아파트 거래량이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거래량이 늘면서 주택가격이 2ㆍ4분기 이후부터는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와 부동산시장이 긴 겨울잠에서 깨어날지 주목된다.

부동산리서치 전문업체 리얼투데이가 2일 서울 아파트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4월 한 달간 5,862건(신고일 기준)이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월보다 696건이 늘었고 4월 거래량으로는 지난 2009년 이후 가장 많다. 4월 거래량은 ▲2009년 6,863건 ▲2010년 3,734건 ▲2011년 5,100건 ▲2012년 4,061건을 각각 기록했다.

서울시내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노원구였다. 4월 한 달간 570건이 거래돼 1월 91건보다 무려 6배 이상 늘었다. 양도소득세 면제 혜택과 리모델링 수직증축 허용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강남구가 491건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송파구 476건 ▲강동구 338건 ▲강서구 330건 ▲서초구 296건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전세 거래량은 9,720건으로 전월(1만496건)보다 776건이 줄었다.

관련기사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집값이 바닥을 쳤다는 인식에 정부 대책까지 맞물리면서 상당수 전세 수요가 매매로 돌아선 것 같다"며 "정부 대책 시행일도 확정이 됐기 때문에 이달에는 거래량이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거래량이 늘어난 데 이어 2ㆍ4분기부터는 주택가격도 상승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예상도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날 '1ㆍ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4ㆍ1 부동산대책 효과로 4월이 되면 계절조정 전월 대비 매매가격이 상승세로 반전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3월의 주택매매가격(계절조정치 기준)은 하락세를 보였으나 그 하락폭이 전월 대비 0.1%포인트에 그쳤다. 3월의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 동월 대비 0.3% 늘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3월의 아파트 입주물량은 1년 전에 비해 5.0% 감소했다.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 역시 올해 1ㆍ4분기에 감소세(전년동월 대비 14.7% 하락)로 돌아섰다. 이런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4ㆍ4분기 0.8%이던 것이 올해 1월에는 1%로 올랐다. 3월의 집단대출 연체율도 상승해 2%선에 근접(1.99%)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