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년·실직자등 46만명 직업훈련 대폭 확대

■ '일자리 창출' 예산 1조4,000억 투입

청년·실직자등 46만명 직업훈련 대폭 확대 ■ '일자리 창출' 예산 1조4,000억 투입 정부는 올해 재정 1조4,000억원을 투입, 청년 및 취약계층 46만명에게 직업훈련 및 연수, 장단기 일자리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노동부ㆍ중소기업청 등 15개 부처에서 관련 사업을 실시한다. 정부가 밝힌 46만개 공공 부문 일자리 지원내역을 보면 경력개발을 위한 청년층의 인턴ㆍ연수 및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직업훈련 지원이 크게 강화된 점이 특징이다. 청년층 취업 분야에는 7,885억원이 투입돼 25만3,000명에게 취업훈련, 인턴 및 장단기 일자리를 제공하기로 했다. 주요 사업은 노동부의 청년직장체험 프로그램 625억원(7만5,000명), 산업자원부의 이공계 미취업자 연수 150억원(3,000명) 등이다. 또 정보통신부의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 등 장단기 일자리 제공사업에 2,389억원(1만9,000명)이 투입되며 청년층 직업훈련사업에 1,935억원(6만2,000명), 해외취업 인턴지원사업에 452억원(5,000명)이 지원된다. 설문식 기획예산처 사회재정1과장은 “민간의 일자리 창출에 시간이 걸리는 것을 감안해 정부는 일자리 지원사업을 보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최근 경력직을 선호하는 기업의 채용패턴 변화에 따라 관련 예산을 대폭 늘렸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유휴 일자리 충원을 위한 관련 예산이 전년(328억원)보다 대폭 늘어난 총 1,519억원이 배정됐다. 중소기업의 빈 일자리를 메우기 위한 지원사업은 ▦교대제전환지원금 ▦중소기업 고용환경개선지원금 ▦중소기업 신규업종 진출지원 ▦중소기업 전문인력채용 장려금 등으로 3만여명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올해 처음으로 행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행정자치부ㆍ1,113억원), 중소기업 전문인력채용 지원(노동부ㆍ78억원), 전문대학생 해외인턴십(교육부ㆍ20억원), 종합직업체험관 신축사업 등이 시행된다. 이와 별도로 올해 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ㆍ공기업 등 공공 부문에서 5만4,352명이 신규 채용될 전망이다. 사회적으로는 유용하지만 수익성이 낮아 시장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는 ‘사회적 일자리’ 지원사업도 대폭 강화됐다. 관련 예산 1,532억원이 지원되며 4만여명이 혜택을 보게 된다. 대표적인 사업에는 방문도우미사업 359억원(7,000명), 숲가꾸기사업 235억원(2,000명), 보육시설 일자리 216억원(4,280명) 등이 있다. 이밖에 노인ㆍ여성ㆍ실직자 등 취약계층 17만5,000여명에게 직업훈련과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4,661억원이 지원된다. 저소득층에 근로기회를 제공하는 자활근로사업 2,021억원(6만명), 실업자 재취직훈련 지원 1,188억원(5만4,000명) 등이다. 신규사업으로는 자활공동체창업지원자금(복지부ㆍ20억원), 노사공동체 재취업지원센터 지원(노동부ㆍ21억원)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정부는 어려운 고용여건을 감안해 이 같은 일자리 지원사업 모집일정을 단축, 재정 조기집행을 통해 연간 인원의 62%가 1ㆍ4분기에, 81%가 상반기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김민열 기자 mykim@sed.co.kr 입력시간 : 2005-01-16 17:5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