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원자로 수출 전문회사 세운다

원자력硏 "두산重·한전등과 컨소시엄 추진중…연내설립도 가능"


국산 원자로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민간기업과 공기업이 함께 ‘원자로 판매 전문회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발전용 핵연료를 넣는 용기로 원전설비의 핵심인 원자로 수출은 1기당 약 20억달러에 달하는 전체 원전건설 수주의 디딤돌이 될 수 있다. 박창규 원자력연구소 소장은 6일 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갖고 “두산중공업ㆍ한전 등과 함께 원자력 기술을 한데 모아 원자로 수출을 이끌 원자로 판매 전문회사 또는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28일 취임한 박 소장은 “이미 업체 대표들과 협의를 벌이고 있다”며 “현재 진행상태대로라면 연내 설립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소장은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의 경우 하드웨어는 두산중공업, 핵연료는 한국핵연료주식회사, 원자력 관리 및 운영은 한국전력 등이 맡아와 기술개발이나 해외시장 개척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관련업체 및 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원자로 판매 전문회사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중국이 발주한 원자로 입찰에서 우리나라가 탈락한 이유도 “원자력 기술 분산과 이에 따른 후진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박 소장은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의 수출추진 계획도 내비쳤다. 그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연구용 원자로 교체시기를 맞고 있으므로 조만간 신규수요가 생길 것”이라며 “연구용 원자로 기술을 가진 나라는 많지 않아 수출전망이 밝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