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주노총 내분 본격화

‘수습후 퇴진’ 반발…사무국 간부등 10여명 사퇴<br>산하조직중 두번째 규모인 공공연맹도 결단 촉구

민주노총 내분 본격화 ‘수습후 퇴진’ 반발…사무국 간부등 10여명 사퇴산하조직중 두번째 규모인 공공연맹도 결단 촉구 김호정기자 gadgety@sed.co.kr 관련기사 • 한노총 전 간부 취업청탁 혐의 잇단 적발 민주노총 지도부의 ‘사태수습 후 내년 1월 사퇴’ 결정에 대해 내부 반발이 격해지고 있다. 충남지역본부장이 지도부의 총사퇴를 주장하며 사퇴했고 민주노총 사무총국 간부 10여명도 사직서를 제출했다. 여기에다 산하 주요 조직들도 공개성명을 통해 지도부의 결단을 촉구하는 등 지도부 방침을 거부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이황미 대외협력국장을 비롯한 13명의 민주노총 사무총국 간부들은 13일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 집행부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은 “강승규 전 수석부위원장의 비리는 민주노조운동 정체성의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며 “신뢰를 회복하는 첫걸음은 도덕성이 훼손되고 대중적 지도력을 상실한 지도부의 자진사퇴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집행부의 거취 문제를 결정하는 과정에 사무총국 성원들이 의견을 제시할 기회도 얻지 못했다며 기자회견 직후 민주노총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에 앞서 이경수 충남본부장은 지난 11일 아침 지도부 방침에 반발해 사퇴의사를 밝힌 데 이어 13일 공개한 ‘사퇴의 변’에서 집행부의 거취 결정이 정당한 절차를 밟지 않았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11일 오전에 끝난)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지역본부장 다수가 사퇴에 동의했음에도 이수호 위원장이 기자회견에서 지역본부장들의 의견을 들어 즉시 사퇴에서 하반기 투쟁 후 사퇴로 입장을 바꿨다”고 비난했다. 조합원수 10만여명으로 민주노총 산하 조직 중 두번째 규모인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연맹(공공연맹)은 12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민주노총 집행부의 책임 있는 결단을 촉구했다. 공공연맹은 13일 새벽 발표한 성명에서 “98년 정리해고법 합의나 2002년 발전소 매각저지 총파업 철회 당시 민주노총 지도부는 조직혼란을 책임지고 총사퇴했다”며 “집행부의 결단만이 조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돌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공공연맹은 일단 민주노총 집행부의 사태수습 과정을 지켜본 뒤 앞으로 대응방향을 추후로 논의할 방침이어서 사태수습 방향을 둘러싸고 총연맹과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충남본부 운영위원과 충북본부 사무처 성원들도 지도부 사퇴 성명을 내며 지도부 흔들기에 동참했다. 민주노총 집행부의 결정에 대해 반대세력들이 전면적인 항의보다는 흠집내기를 줄곧 시도하고 있어 앞으로 사태수습 방향을 둘러싸고 민주노총 내부의 갈등이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비정규직법안ㆍ노사관계선진화법 등 민주노총이 준비 중인 하반기 대정부 투쟁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입력시간 : 2005/10/13 17:1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