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기침체 영향, 경제성장률 하향조정남미 국가들중 그나마 가장 견고한 경제 성장세를 보이던 멕시코마저 미국의 경기 침체 여파로 불황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지난 95년 페소화 폭락사태로 야기된 데킬라 파동을 극복한 이후 멕시코는 미국 경제의 호황으로 수년간 6~7%의 성장률을 유지해 왔다. 멕시코 전체수출에서 미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90%를 웃돌고 있다.
멕시코가 브라질을 제치고 처음으로 중남미 국가 중 최대 경제국(1ㆍ4분기 GDP 기준)으로 부상했다는 것과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전력난에 따른 전력 수출 등 반대 급부를 누리게 됐다는 반가운 소식도 멕시코 경제의 암울한 전망으로 희석되고 있는 실정이다.
◇올 경제성장률 목표치 하향 조정=멕시코 정부는 최근 올해 경제성장 목표치를 당초 4.5%에서 2.5∼3% 대로 하향 조정했다. 2% 선에도 못 미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도 나돌고 있다.
지난해만 해도 멕시코는 미국 경제의 호황으로 6.9%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닥쳐 온 미국의 경기침체 영향으로 지난 1ㆍ4분기 경제성장률은 고작 2% 선에 머물렀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5.1%와 비교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 1ㆍ4분기 무역적자는 21억3,000만 달러에 달했고, 2월과 3월의 산업생산성은 각각 3.7%, 1.9%나 떨어졌다. 또한 올들어 14만4,000여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등 실업률도 치솟고 있다.
멕시코 경제의 불안한 양상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최근에는 30 달러 선에 육박하고 있지만 한동안 지속된 유가 약세로 국영석유회사(페멕스)의 원유판매 대금이 감소, 재정수입도 현격히 줄어 들었다.
페소화는 몇 개월째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출업자들에게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페소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경제불안으로 이곳에 투입되었던 외국 자본이 멕시코로 역류하고 있기 때문. 한마디로 금융시장 역시 그다지 안정적인 상태는 아니라는 것.
◇6년 주기 경제 위기론 재부상=멕시코 경제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현지언론들은 6년을 주기로 찾아오던 경제 위기를 다시 거론하고 있다. 미겔 델라 마 드리드정권으로부터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에르네스토 세디요 정권에 이르기까지 임기 6년인 정권 초기마다 경제난을 겪어 왔던 악순환이 이번에도 재현될 공산이 크다는 것.
특히 이 같은 6년 주기의 경제 위기는 페소화의 이상 강세에 뒤이어 찾아왔다는 점에서 멕시코를 긴장시키고 있다.
최근 멕시코의 외환 보유고가 400억 달러에 이르고 외국인 직접투자(FDI) 역시 늘고 있지만 급작스런 자본 유출 가능성은 상존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폭스 대통령은 경기침체를 거론하는 언론들을 '선동주의자'라고 비난하며 "미국시장의 영향으로 경제성장이 다소 둔화되고 있지만 멕시코 경제는 확고한 기반 위에 서 있기 때문에 6년을 주기로 찾아오는 경제위기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시장 불황의 영향은 아무래도 클 수 밖에 없다" 며 "멕시코의 1ㆍ4분기 경제성장률은 정부가 발표한 2.2%에 못 미치는 1.9%에 이른 것으로 보이며, 이 상태가 지속되는 한 슬럼프가 불가피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최우선 과제인 세제개혁도 차질=지난해 12월 취임한 폭스 대통령이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세제개혁도 어려움에 봉착했다. 야당의 반발이 워낙 거세기 때문이다. 71년만에 집권당 자리를 넘겨준 제도혁명당(PRI)은 지난 21일만 해도 "폭스 정부의 세제개혁안은 불평등하고 불완전한 제안일 뿐 아니라 진정한 개혁이라고도 할 수 없다"며 세제개혁안 거부 방침을 재확인 했다.
신용평가기관 S&P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 85개국 가운데 멕시코의 GDP 대비 세입 비중(2000년 기준)은 13.8%. 인도에 이어 꼴찌에서 두번째다. 폭스 대통령은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취임 후 식품과 의약품에 15%의 부가가치세를 도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세제개혁안을 지난 4월 의회에 상정했지만 야당의 발목잡기에 걸려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가 미국의 경기 침체와 야당의 세제개혁 반대라는 장매물을 넘어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운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