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메트로, 불성실·무능 직원 94명 선정

1년간 현장업무 배치… 부적응땐 보직해제등 불익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가 불성실ㆍ무능 직원 94명을 선정, 1년간 부정승차 단속 등 현장업무에 투입하기로 했다. 서울 메트로는 전체 직원 1만175명의 11.2%(1,141명)에 대한 인사발령에서 업무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불성실한 직원 94명을 ‘서비스지원단’에 배치했다고 4일 밝혔다. 서비스지원단은 서울시 현장시정지원단과 비슷한 개념으로 부정승차 단속, 질서유지 등 1년간 현장업무 뒤 재평가를 거쳐 부적응자로 판정되면 보직해제 등 인사상 불이익을 받게 된다. 서울메트로에 따르면 서비스지원단에 배치된 A씨는 지난해 병가 28일, 보건휴가 12일, 연차 14일 등 주휴ㆍ국경일을 포함해 총 171일을 사실상 근무하지 않았다. 병가는 유급 처리되고 대체근무자에게 수당이 지급되는 점을 악용, 직원들이 번갈아가며 수당을 받기 위해 저지른 편법이다. B씨는 연간 30일까지 쓸 수 있는 병가제도를 악용, 최근 2년간 1회 1∼4일씩 19회에 걸쳐 병가 60일을 사용하고 보건휴가ㆍ연차를 연속 사용해 업무공백을 크게 하는 등 근무 태도가 지극히 불성실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C씨는 상습적인 음주로 결근ㆍ근무지 이탈이 잦았다. D씨는 역사 내 부대시설을 이중으로 임대해 임대료를 챙겨 사기죄로 형사처벌을 받는 등 근무 분위기를 해쳤다. 메트로의 한 관계자는 “매년 1,500억원 안팎의 적자와 건설부채 원리금을 시민의 세금으로 메워가는 실정이지만 직원 1인당 평균 보수는 5,243만원으로 대기업 수준”이라며 “경영혁신 차원에서 서비스지원단 제도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메트로는 정년퇴직과 명예퇴직, 9호선 등 다른 지하철 운영기관 전출 등의 방식으로 올 연말까지 정원의 3.9%(404명)를 줄이고 오는 2010년까지 정원의 약 20%(2,088명)을 단계적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