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재일민단, ‘조선인학살’ 표현 삭제한 도쿄都에 항의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하 민단)은 8일 간토(關東)대지진과 관련한 교과서 내용에서 ‘조선인 학살’이라는 표현을 제외하기로 한 도쿄도(都)의 결정에 적극 항의했다고 밝혔다.

민단 도쿄도 지방본부는 전날 도쿄도 교육위원회를 방문해 교과서 내용 중 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 피해와 관련한 기술에서 ‘학살’이라는 표현을 되살릴 것을 요구하는 항의문을 제출했다.

민단은 항의문에서 “도쿄도 교육위원회가 반성해야만 하는 역사적 사실을 묻으려 하고 있다”며 “반성할 필요가 없다고 선언하는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비판했다.


도쿄도 교육위원회는 지난달 24일 고교 일본사 부교재(보충교재)인 ‘에도에서 도쿄로’에 나오는 간토대지진 당시의 조선인 ‘학살’표현을 수정하기로 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관련기사



도쿄도 교육위가 변경하기로 한 부분은 ‘간토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에 관한 문장으로, ‘대지진의 혼란 와중에 수많은 조선인이 학살됐다’고 적혀 있었지만, '조선인이 귀중한 목숨을 빼앗겼다'고 바꾸기로 했다.

간토대지진은 1923년 9월 1일 일본 도쿄만 남서쪽의 사가미 만에서 발발한 규모 7.9의 지진으로, 15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일본 정부는 간토대지진 이후 사회 혼란을 진정시키기 위해 ‘조선인이 무장 봉기를 일으켰다’거나 ‘우물에 독을 집어넣었다’는 등의 유언비어를 퍼뜨렸다. 이에 흥분한 일본인들이 재일 조선인 6,000명을 학살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