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대화정치 앞장서되 법치원칙 굳건하게"

李대통령, 국정주도권 장악의지

이명박 대통령은 11일 국회 개원 연설에서 촛불집회와 임기 시작 후 42일 동안 국회가 공전한 데 따른 국론 분열 등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시하면서 대화정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촛불집회 등에서 나타난 ‘민심’은 수용하되 법치의 원칙을 거듭 강조하면서 국정 주도권 장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이 대통령은 올해로 ‘건국 60주년’ ‘제헌 60주년’ ‘창군 60주년’을 맞은 데 대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며 선진일류국가로의 새로운 도약을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저는 피와 땀과 눈물로 오늘의 한국을 가꾸어오신 국민 여러분께 고개 숙여 경의를 표한다”며 “자신의 역사를 부정하는 국민에게는 미래가 없다. 긍정과 발전의 역사관이야말로 우리를 희망찬 미래로 이끄는 원동력”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국회가 ‘창조의 전당’ ‘소통의 전당’ ‘통합의 전당’이 돼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역사의 새 장을 열어달라”면서 “정부도 국회를 국정 파트너로 존중하고 대화정치를 앞서 실천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우리 사회는 분열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구심력보다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한 뒤 “위기일수록 정부가 해야 할 일은 국민의 긍정적 에너지를 모아내는 것”이라며 “발전과 통합의 두 수레바퀴를 힘차게 돌리기 위해 저와 정부부터 거듭나겠다”고 덧붙였다. 최근의 ‘쇠고기 파문’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민의 눈높이에서 국민과 함께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면서 “국민의 목소리에 더 세심하게 귀 기울이는 한편 법치의 원칙을 굳건히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법치 문제에 대해 “법과 질서가 바로 서지 않으면 신뢰의 싹은 자랄 수 없다. 무례와 무질서가 난무하는 사회는 결코 선진사회가 될 수 없다”면서 “부정확한 정보를 확산시켜 사회불안을 부추기는 ‘정보전염병’도 경계해야 할 대상”이라고 비판했다. 최근 촛불집회가 불법ㆍ폭력 시위로 변질된 데 무분별한 인터넷 언론 등의 영향이 컸다는 인식을 보여준 것이다. /온종훈기자 jhohn@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