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명품한우' 횡성도 구제역

안동·예천·파주·고양·연천 5개지역 백신 접종키로

강원도 지역까지 구제역 양성 판정이 내려진 가운데 23일 강원도 원주시 문박읍 취병리 취병저수지 입구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일반 차량의 통행을 차단하고 있다. /원주=조영호기자

국내 최고 한우 산지이자 한우의 자존심이라 할 수 있는 강원도 횡성까지 구제역에 뚫렸다. 정부는 경북 안동과 예천, 경기 파주ㆍ고양ㆍ연천 등 5개 지역에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지만 강원도의 경우 횡성 인근인 철원ㆍ양양의 의심신고가 음성으로 나옴에 따라 일단 강원지역은 백신 대상에서 제외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3일 "200개팀 800여명이 7,016농가의 한우 13만3,000여마리를 대상으로 1차 접종한 뒤 1개월 후에 2차 접종하게 된다"면서 "25일부터 접종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안동 1,446농가 1만7,000마리 ▦예천 4,106농가 4만7,000마리 ▦연천 396농가 1만8,000마리 ▦파주 723농가 3만1,000마리 ▦고양 345농가 2만마리 등이다. 구제역 피해가 심한 안동은 전지역에, 나머지 지역은 구제역 발생농가를 중심으로 10㎞ 이내의 한우가 접종 대상이다. 예천은 축산농가 밀집지인 인근 영주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대상에 포함됐다. 강원 지역의 구제역은 대부분 발생 초기인데다 격리 지역에서 소규모로 일어나고 있어 일단 접종대상에서 빠졌다. 농식품부는 그 외의 구제역 발생지역은 종전대로 살처분 방식으로 대처하되 구제역 확산 여부에 따라 백신접종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미 예방접종을 실시한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하면 발생농장의 가축만 매몰하게 된다. 한편 이날 현재 구제역은 3개 시도 19개 시ㆍ군 50건으로 늘어났다. 이런 가운데 인천 강화군 돼지농장과 경북 군위군 젖소농장에서 추가로 의심신고가 나왔다. 이번 구제역으로 1,462농가의 소ㆍ돼지ㆍ사슴ㆍ염소 등 27만8,530마리의 가축이 살처분ㆍ매몰됐다. 결국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횡성ㆍ원주ㆍ고양 등 강원ㆍ경기 지역으로 확산됨에 따라 정부의 안일한 초기 대응으로 방역망이 뚫려 '재앙'을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백신은 접종 중단 뒤 6개월이 지나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 회복 신청이 가능해 정부는 지난 2000년 당시 사용한 후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을 꺼려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