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평범한 발레는 가라

국립발레단 차세대 안무가 안성수·박화경 등 참여<br>발레에 재즈·디지털 음악 결합한 '컨버댄스' 공연

지난 해 모스크바 콩쿠르에 출연했던 이동훈, 김리회의 창작 발레 'Your Place My Place'

클래식 발레가 재즈의 즉흥성과 디지털 음악의 동시대성, 연극적 움직임과 만나면 어떤 느낌일까. 최근 발레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국립발레단이 차세대 안무가들의 창작 활동에 힘을 보태기 위해 특별한 무대를 마련했다. 20~21일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 오르는 '컨버댄스'(CONVERDANCE)란 이름의 프로젝트는 '컨버전스'(융합)와 '댄스'를 결합한 새로운 장르의 창작 발레다. 현대무용 안무가 안성수ㆍ박화경ㆍ정현옥이 참여해 각각 재즈, 디지털음악, 연극 등 다른 공연 장르와 결합을 시도한다. 국립발레단은 앞으로 창작 발레 작품을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재공연하면서 레퍼토리 작품으로 확보하는 한편 발레를 통해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의 폭을 확대할 방침이다. 안무가 안성수(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스윙재즈의 전성기를 이룩한 베니 굿맨의 '싱 싱 싱'(Sing Sing Sing)을 바탕으로 1930년대 유행한 스윙재즈의 느낌을 발레로 표현했다. 당시 스윙재즈는 경제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으로 우울한 시대를 위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번 작품에서는 국립발레단의 강효형, 이영철, 정혜란, 윤전일 등 4쌍의 남녀 무용수가 등장해 재회의 기쁨과 인생의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현재 프랑스에서 안무가 겸 무용수로 활동하는 박화경은 이번에 '01'이란 작품을 소개한다. 숫자 0이 갖는 초월성이나 공허함, 생명의 전체성과 숫자 1이 갖는 모든 가능성의 종합, 본질, 중심, 고립, 상승 등의 느낌을 대비시켜 보여준다.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김주원을 비롯해 송정빈, 정지영, 김윤식, 김경식 등이 참여한다. 국립발레단 단원으로 모던 발레에서 남다른 감각을 보여준 정현옥은 자신이 직접 안무한 'J씨의 사랑이야기'를 통해 여러 연령대의 사람들이 사랑하는 방식들을 다채롭게 변주해 보여준다. 국립발레단 이수희, 유난희, 서재민, 박나리, 김종열, 박슬기 등이 무대에 오르며 발레에 연극적인 요소를 접목해 색다른 감각이 돋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