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동의보감] 기 순환 막는 장마

율무·쇠비름 기혈소통에 도움

한방에서 인체에 질병을 가져오는 자연의 환경은 풍한서습조(風寒署濕燥)의 여섯가지 기운(六氣)이 비정상적으로 편중하여 오는 경우다. 봄 바람(風)과 겨울의 추위(寒), 여름의 더위(署), 가을의 건조함(燥), 그리고 눅눅함(濕)은 자연스럽게 그 기운이 순환하면서 자연의 생장을 돕지만 이중 어느 한가지 혹은 두어가지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오래 지속되어 환경의 균형을 깨뜨리면 이 기운은 육음(六淫 혹은 六邪)으로 변해 그 안에 사는 생물들, 특히 허약한 사람에게 위해 요인이 된다. 지금은 여름이므로 당연히 더위로 인해 올 수 있는 질병을 경계할 때다. 여름에 많이 나타나는 질병으로는 일사병이나 다한증, 배탈, 수인성 전염병 같은 것이다. 더위로 인한 직접적인 병증(일사병)은 우선 더운 열이 몸을 달구는 데서 시작된다. 몸이 뜨거워지면 열을 내보내기 위해 인체는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데, 이 땀은 바로 심장의 진액이므로 인체는 갈증을 느끼게 되고, 열은 체내 대류작용으로 머리로 올라가 뇌를 뜨겁게 하므로 두통과 어지러움을 느끼게 한다. 이 작용은 신경을 교란시켜 구토와 답답증을 일으킨다. 진액이 줄어들므로 기가 허하게 되므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심하면 숨이 막히는 듯 가슴이 막히면서 인사불성이 되어 쓰러지고 땀이 비오듯 쏟아지면서 손발은 차가워진다. 본격적인 무더위를 앞두고 장마가 시작됐다. 장마철에 생기는 질병은 더위와 습기가 함께 침투하여 생기는 것이므로 '서습(暑濕)의 질병'으로 분류한다. 덥고 축축한 기운(濕邪)이 침습하면 전신이 노곤하며 예민해지고, 관절에 머물면 관절염 신경통의 증세가 도진다. 끈적한 기운이 기와 체액의 소통을 막아 대변은 무르고 소변은 양이 줄어들고 탁하며 피부에는 무좀 습창과 같은 피부병도 늘어난다. 덥고 습한 시기에는 담백하고 시원한 음식으로 습한 기운을 이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땀으로 소비된 진액을 보충하는 식품으로 복령 수박 토마토 포도 오리고기 계란 등이 유익하고, 열을 식혀주는 식품으로 금은화 국화 녹두 메밀 김 수박이, 습사를 물리쳐 기혈의 소통을 풀어주는 식품으로 율무 쇠비름 동과 복령 사인 등이 유익하다. 이 밖에 몸이 지치지 않도록 체력을 강화하는 보양식과 약재 등을 사용한다면 덥고 습한 기운으로 인한 질병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