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삼성 금융제재 어디까지] 신규여신 중단등 극약처방

채권단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우량 계열사는 올 순익이 수조원에 달해 금융제재가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겠지만, 대다수 비우량 계열사는 심각한 자금난에 몰릴 것으로 보고 있다.◇약한 부분에 집중 포화= 9일 채권단의 고위관계자는 『삼성의 자금력이 워낙 탄탄해 금융제재에 돌입하더라도 실효가 없을 것이란 추측도 있지만 두고봐야 알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삼성계열사 가운데 전자 등 일부 기업만 자금이 넉넉할 뿐 상당수는 금융기관 도움없이 생존이 의문시되는 기업들』이라며 『1단계 제재조치인 「신규여신 중단」만 집행돼도 상당수 계열사가 위기에 몰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권단은 지난 93년 현대그룹에 대한 여신제재 사례를 토대로 「삼성 공격작전」을 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 여신제재는 당시 정권의 강요에 따른 것이었지만, 현대가 계열사간 지원 등을 통해 이를 교묘하게 피하면서 오히려 경쟁력을 키우는 기회로 삼았다는게 채권단의 결론. 이에 따라 채권단은 계열사간 지급보증이나 소속 금융기관을 통한 부당지원을 정부가 엄격히 감시할 경우 삼성이 견디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채권단은 금융제재에 돌입하게 되면 삼성의 국제신인도가 떨어져 해외사업에서 타격을 받는 것은 물론, 자금조달 비용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관측한다. 채권단 관계자는 『삼성이 금융제재를 자초한 것 자체가 외국에서는 심각한 우려를 불러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삼성측은 채권단의 이같은 금융제재 방침에 『받아들일 수 없다』며 소송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삼성 관계자는 『올 연말까지 부채비율을 200% 이내로 축소하는 등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데, 채권단이 제재를 결의한다면 가만있지 않겠다』고 말했다. 삼성자동차 부채를 책임지겠다는 확약서를 제출하지 않는 삼성측의 입장은 간단하다. 『특별한 의도는 전혀 없다. 다만 채권단이 일을 풀어가는 절차상에 많은 모순이 있기 때문에 확약서를 제출하지 못한 것이다』는 것. 하지만 삼성은 이같은 입장이 채권단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는 것으로 비쳐지는데 상당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마치 삼성차 문제해결의 실마리가 삼성때문에 꼬이는 것처럼 비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왜 확약서를 안내나= 삼성은 문제 해결의 수순이 뒤바뀌어 있다고 주장한다. 우선 채권단이 이건희(李健熙) 회장이 내놓은 삼성생명 주식 400만주를 각자 몫만큼 나눠갖고 그 다음 주식평가를 해야 한다는 점을 요구하고 있다. 채권단이 각자 주식을 나눠갖지 않으면 삼성생명 주식평가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것이고, 이렇게 되면 삼성이 상정한 주당 70만원의 가치를 인정치 않을 것은 당연한 수순. 더욱이 어떤 식으로든 확약서를 써주고나면 채권단이 삼성생명 주식의 가치를 낮게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다. 채권단이 삼성차의 부채를 일정부분 분담해야 한다는 입장도 확약서를 쓰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부채 4조3,000억원중 지급보증분 1,500억원을 제외하고는 법적인 책임질 의무가 없는데도 李회장이 사재를 출연, 삼성차 부채처리에 성의를 다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채권단의 일처리가 매우 불공평하다는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지급보증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부채가 채권단이 쓰라고 강요한 부분이 많으므로 처리를 공평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삼성측은 채권단이 금융제재에 들어갈 경우 특별한 대책이 없어 내부적으로 고심하고 있다. 금융제재로 인한 유동성 문제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일말의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금융제재를 받을 경우 대외신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상복기자SBHAN@SED.CO.KR 고진갑기자GO@SED.CO.KR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