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시 인구 고령화 '뚜렷'

서울시의 전체 인구가 10년 전에 비해 소폭 감소한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는 그 때보다 60% 가량 늘어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19일 발표한 `2005년 주민등록 인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기준 서울의 인구는 1천29만7천4명으로 2004년 말의 1천28만7천847명보다 0.09%(9천157명) 늘어났다. ◇ 급속한 `고령화' = 10년 전과 비교할 때 전체 인구는 2.82%(29만9천명) 줄었으나 65세 이상 노인은 59.9%(27만6천명) 증가해 급속한 고령화 양상을 보였다. 65세 이상 노인은 지난해 말 기준 73만5천902명(전체의 7.1%)으로 전년(6.7%)보다 비율이 0.4% 포인트 높아졌다. 이 중에는 100세 이상 고령자도 335명(남 38.여 297) 포함돼 있었다. 생산연령인구(청장년)의 노년 부양비도 높아져 노인 1명을 부양하는 청장년 숫자가 95년 17.1명에서 지난해 10.7명으로 줄었다. 유소년(0∼14세) 100명당 노인 수를 나타나는 노령화 지수도 같은 기간 20.4명에서 42.9명으로 2배 수준이 됐다. 5세 미만 영.유아는 95년 77만958명, 2004년 50만4천86명 작년 46만6천476명으로 줄었고 전체 인구 중 비중도 95년 7.28%에서 작년 4.53%로 낮아졌다. 연령대별 전년 대비 증감을 보면 80세 이상 5.12%, 70대 8.20%, 60대 2.55%, 50대 6.43% 증가한 반면 10세 미만은 4.78%, 10대는 0.39%, 20대는 2.32% 감소했다. 평균 연령은 35.6세(남 34.7.여 36.5)로 95년의 31.0세보다 4.6세 높아졌다. ◇인구보다 세대수 더 많이 늘어 = 지난해의 경우 출생, 사망에 따른 자연 증가는 예년 수준이었으나 전입, 전출에 의한 인구감소율이 예년보다 낮아졌다. 또 외국인 수도 전년보다 13.06%(1만4천975명) 많은 12만9천660명으로 늘어났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인이 7만7천881명으로 60.1%를 차지했고 다음은 미국(1만1천487명)-타이완(8천923명)-일본(6천710명) 순이었다. 세대수 증가 폭은 훨씬 커 전년보다 2.40%(9만719세대) 늘어난 387만1천24세대로 집계됐다. `나 홀로 가정' 등 2인 이하 세대는 증가한데 비해 4인 이상 세대는 감소한 탓으로 세대당 평균 세대원수는 2.66명이었다. 남녀 성비는 99.4명(남자수/여자수)으로 2003년 이래 여초(女超) 현상이 지속됐다. 연령대별로는 10대 이하와 30대에서 남자가 많은 반면 다른 연령대에서는 여자가 많았고 특히 80세 이상에서는 여자가 2.5배나 됐다. 전년 대비 권역별 인구증감에서는 서남.동남권이 각각 0.82%, 0.17% 증가한 반면 도심.서북.동북권은 각각 1.06%, 0.33%, 0.29% 감소해 한강 이남으로 쏠리는 현상을 보였다. ㎢당 인구 밀도는 동북권이 1만9천708명으로 최고였고, 도심권(9천838명)과 동남권(1만4천6명)이 제일 낮았다. 자치구별로는 노원구가 62만4천855명으로 가장 많아 가장 적은 중구(13만4천420명)의 4.6배 정도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