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없다"

삼성경제硏, 한국증시 PER 일부 국가보다 높아<br>"한국기업 저평가 주장은 잘못" 지적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없다.’ 한국 기업들의 주가가 외국보다 저평가 됐다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0일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기업지배구조’ 보고서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된 근거가 되는 한국 주식시장의 주가수익률(PER)을 분석한 결과, 지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평균 16.9%를 기록, 영국 15.5%, 말레이시아 16.1%, 태국 11.7% 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수익률이 최악이었던 2000년을 제외할 경우 PER은 19.2%로 독일 16.5%, 프랑스 17.3%, 홍콩 18.9% 등보다도 우수했다. 연구소는 이에 따라 한국 주식의 주가수익률(PER)이 해외 선진국이나 신흥시장국에 비해 현저히 낮아 저평가됐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신흥시장국의 지위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국의 입장에서는 신흥시장국 전체에 대한 저신뢰의 영향으로 선진국에 비해 저평가 현상이 발생하지만 한국특유의 요인이 한국기업의 저평가를 심화시켰다고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증권거래소에서 운영하는 기업지배구조지수 구성종목과 그렇지 않은 종목의 주가를 비교한 결과 지배구조지수에 포함되지 않은 종목의 수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배구조지수에 포함된 종목의 총자산이익률(ROA)은 7.14%로 그렇지 않은 종목의 8.04%보다 낮았고 자기자본이익률(ROE)도 지배구조지수에 포함된 종목이 13.41%로 그렇지 않은 종목의 14.80%보다 떨어졌다. 한국시장에 적용되는 디스카운트의 원인은 기업지배구조 외에 얕은 시장의 깊이, 낙후된 회계관계, 부적절한 시장개입, 부패 등이 공통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