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아 임원인사·기구축소 의미/채권단과 유화적 협상체제 구축

◎김회장 단일의사체계 강화조치기아그룹이 그룹의 2인자 역할을 해온 한승준 기아자동차부회장을 포함해 고위 임원을 대거 퇴직시키거나 전보인사를 단행한 것은 김선홍 회장 체제를 강화하고 나아가 「포스트 김회장」체제까지 내다보는 장기포석의 첫단계 조치로 해석된다. 또 고락을 함께 해온 인사들까지 내보내는 강력한 조치를 단행함으로써 삼성의 2차 보고서 파문과 채권은행단의 김회장 사퇴요구 등 급박한 대외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안으로는 김회장 중심의 강력한 의사결정체계를 조성, 내부결속력을 다지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에따라 김회장은 채권은행단과 정부의 대응수위에 따라 조만간 자신의 거취문제를 분명하게 매듭지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는 이번 인사에서 김회장­박제혁 기아자동차사장­송병남 그룹기조실사장­정태승 기아차 기획실장 등 단일 의사결정 체제를 구축했다. 특히 한부회장을 포함, 김영귀(전 기아자동차사장)­이기호(전 종조실사장)고문 등 김회장과 함께 일해온 고위임원들을 내보낸 것은 오너가 없는 기아그룹의 입장에서 볼때 중대한 결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회장이 현난국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대내외에 천명한 셈이다. 박 기아차사장은 내부에서 덕망있는 인사로 정평이 나있고 송 기조실사장과 정 기아차기획실장은 관료출신으로 폭넓은 대외관계로 호평을 받고 있다. 김회장 후계체제는 그러나 내부인사가 아닌 「뜻밖의 외부인사」가 영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외부인사 영입가능성은 김회장 자신이 「이대로 물러설 수 없다」는 최근 자서전에서도 밝혔고 내부적으로도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아의 이같은 대규모 임원감축과 조직슬림화가 김회장 퇴진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채권단과 정부측에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 지는 아직 미지수다. 비록 기아로서는 「뼈를 깎는」 조치였지만 김회장 체제를 오히려 강화시킨 이번 인원감축을 채권단과 정부가 결코 달갑게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박원배·정승량 기자>

관련기사



정승량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