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천반대 명단발표 시민반응, "총선 시민혁명 사작됐다" 환영

24일 총선시민연대의 「공천반대」 대상 인사 67명 공개에 대해 대다수의 유권자들은 『민주주의를 위한 의미있는 첫걸음』이라며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특히 여야 중진의원들이 대거 포함된 것에 대해서는 『기존 정치권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이 그대로 반영된 것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치적으로 이용당하는게 아니냐』, 『실정법을 위반해서는 안된다』는 반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회사원 조형석(32·서울 성동구 옥수동)씨는 『이번 공천반대 인사 선정으로 우리 정치가 한단계 도약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대 법대 안경환 교수는 『이번 공천반대 운동이 그대로 정당의 공천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여야 중진들이 대거 포함된 것은 기성정치에 대한 불신을 표현한 시민들의 메시지』라고 평가했다. 서울대 경제학부 4학년 박세영씨는 『낙선·낙천운동은 당연한 국민들의 의사표현이고 객관성도 충분히 검증됐다』며 『앞으로는 시민단체별로 전문적 사안에 대한 낙천·낙선운동이 전개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총선시민연대 홈페이지를 찾은 시민 최봉석씨는 『제모습을 갖춘 정당이 없는 우리 사회에서 시민운동단체를 통한 시민으로부터의 조직적 정치화는 어찌보면 「민주적 시민사회의 시작」으로 평가될 수 있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그러나 대상자 명단발표 과정과 내용에 대한 우려와 아쉬움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양승함 교수는 『부적격자 명단의 수를 조절한 것 자체가 정치적 의도가 있을 수 있는 것』이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박선주(朴善柱) 변호사도 『총선시민연대가 실정법을 위반하면서까지 낙선운동을 펼치는 것에는 반대한다』며 『목적이 정당하더라도 수단이 적법하지 못하면 옳지 못하다』고 말했다. 회사원 이기재(34)씨는 『이번 공천 반대운동을 계기로 자칫 시민단체들이 또다른 정치세력화하는게 아닌가 걱정스럽다』며 『시민운동단체들은 본래의 취지대로 중립적인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정두환기자DHCHUNG@SED.CO.KR

관련기사



정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