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컴」교육 “선택 아닌 필수” 공감/PC활용능력 평가시험제 도입

◎대기업 입사성적 반영 급속 확산될듯/국민 정보화 수준 향상·저변확대 기여/“단순 암기·사교육비 부담” 우려도한국정보산업연합회가 도입한 「PC활용능력 평가시험(PCT)」 제도는 정보화의 핵심인 PC에 대한 지식이 더이상 선택과목이 아닌 필수과목임을 선언한 신호탄으로 평가되고 있다. PCT는 또 영어실력을 평가하는 토익처럼 빠른 시일내 많은 기업으로 확산될 전망이어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정보화수준을 한단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개인이나 기업차원에서 제각기 실시하던 정보화교육을 하나의 체계적인 시험제도로 통합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넓은 저변확대를 통한 실용적인 정보화교육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전자, 데이콤 등 14개 업체가 PCT의 결과를 입사시 참고자료로 추천키로 결의함에 따라 정보통신업체를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로 PCT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 토익시행에 따라 영어학원이 증가했듯이 이 시험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학원도 급증할 전망이다. PCT는 무엇보다 기업의 현장업무에서 바로 PC를 응용할 수 있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정보산업연합회는 이를 위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윈도」환경체제의 응용프로그램을 시험과목으로 구성했으며 필기시험(4백점)보다 실기시험(6백점)에 비중을 두었다. 하지만 출발점에 선 PCT제도에서 우려되는 점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시험을 위한 시험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토익과 영어회화능력이 상관관계가 높지 않듯이 PCT가 실습능력보다 창의성을 빼앗는 단편적인 암기위주의 평가방식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PCT제도로 인해 사교육비가 가중되는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PC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시험과목과 시간=필기와 실기로 나뉘어 실시되는 이 시험은 토익처럼 총점에 의한 방식으로 평가된다. 총점은 필기 4백점과 실기 6백점을 합쳐 1천점 만점이다. 필기시험의 경우 5개 문항중 하나를 선택하는 5지선다형 방식이며 1백50문항을 2시간내에 풀어야한다. 과목으로는 ▲하드웨어 기본지식 ▲운영체계 ▲유틸리티 ▲OA(워드프로세서·스프레드시트·프리젠테이션) ▲네트워크 ▲컴퓨터상식 등 6개분야다. ◇입사시 참고자료로 추천키로 한 업체 =기아정보시스템, 대덕전자, 대우통신, 데이콤, 삼보컴퓨터, 삼성전자, 삼양사, 쌍룡정보통신, LG전자, 유공, 한국이동통신, 한국종합기술금융, 현대전자. ◇응시원수교부 및 접수=제1차시험의 원서는 오는 11일부터 30일까지 한국정보산업연합회와 서울시내 주요기업, 대학등에서 교부한다. 전화 (02)780­0206∼7<김기성> ◎인터뷰/이용태 한국정보산련 회장/“국내 정보화 측정기준 확립/객관·공정성 유지 노력할터” 『시행착오도 많이 겪겠지만 장기적으로 「PC활용능력 평가시험PCT」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정보화의 측정 기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용태 한국정보산업연합회 회장은 이같이 말문을 열면서 『PCT는 기업의 요구와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며 『저렴한 비용으로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내년부터는 PCT붐이 조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PCT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은. 『시험문제가 기업이 원하는 사람을 채용하는 기준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따라서 객관성과 공정성을 갖춘 문제가 선결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 기업이 원하는 요소들의 최대공약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시험제도로 정착되어야 한다고 본다.』 ­국가 및 기업이 주관하는 시험제도도 있는데. 『국가시험은 정보처리기능사, 사무처리운용기사, 워드프로세서 자격시험 등 4가지 종류가 있지만 현재의 기술발전속도와는 뒤떨어졌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 보편적이지 못하고 특정 전공자를 위한 시험에 그치는 경향이 있다.』 ­앞으로의 계획은. 『자동차시험 처럼 PCT가 보편화되는데 역점을 두겠다. 또 PC학원 등 관련업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시험으로 정착되도록 노력하겠다.』<김기성>

관련기사



김기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