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초혼男-재혼女' 결혼 급증

결혼관 변화… 이혼건수 10년前보다 2배 증가결혼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이혼 비율이 늘어나면서 서울시내에서 초혼 남성과 재혼 여성간 결혼 형태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6일 발간한 `2001 서울여성백서'에 따르면 2000년 결혼한 서울시내 남녀의 결혼 형태를 분석한 결과, 초혼 남성대 재혼 여성간 비율은 3.6%로, 80년 1.5%, 90년 2.2%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아울러 남녀 모두 재혼인 경우도 80년 3.6%, 90년 4.0%에서 2000년에는 7.3%로 늘어났다. 반면 남녀 모두 초혼인 경우는 80년 90.1%, 90년 89.9%, 2000년 85.5%로, 재혼남성대 초혼 여성의 비율은 80년 4.8%, 90년 3.9%, 2000년 3.1%로 감소세가 이어졌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의 경우 75년 28.1세에서 90년 28.3세, 2000년 29.7세로, 여성은 75년 24.8세, 90년 25.6세, 2000년 27.3세로 매년 높아졌고, 2000년 초혼 연령은 전국평균(남성 29.3세, 여성 26.5세)보다 남성이 0.4세, 여성이 0.8세 많았다. 결혼 건수는 90년 10만3천842쌍에서 2000년 7만8천745건으로 줄어든 반면 이혼건수는 90년 1만3천432쌍에서 2000년 2만5천477쌍으로 2배 가량 증가, 결혼 건수 대이혼 건수 비율이 90년 12.9%에서 2000년 32.4%로 급증했다. 이혼사유는 2000년 부부나 가족불화 73.4%, 경제 11.3%, 건강 0.7%, 기타 13.4%등으로, 90년 부부.가족불화 83.0%, 경제 2.3%, 건강 1.4%, 기타 13.3% 등에 비해부부.가족불화는 줄어든 반면 경제문제가 크게 늘어났다. 여성의 결혼연령 상승과 경제활동 증가로 인해 출산연령은 늦어져 20∼24세 출산비율이 90년 21.3%에서 2000년 8.2%, 25∼29세는 56.9%에서 51.4%로 줄어든 반면 30∼34세는 18.2%에서 32.5%, 35∼39세는 2.4%에서 6.3%로 각각 증가했다. 서울 여성의 하루중 근로시간은 2시간46분으로 남성보다 1시간55분 짧았지만 가사노동시간이 3시간13분(남성 26분)에 달해 전체적으로는 남성보다 52분 더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지난해말 현재 여성 취업자수는 190만3천명으로 전체의 41.9%를 차지했지만, 월평균 급여액은 108만1천원으로 남성의 168만4천원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조사됐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