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이자비용 급증… 가계 빚 '경고등'

■ 통계청 3분기 가계동향<br>경기 호조세 주춤… 소득증가율도 1년만에 떨어져



경기 호조세가 주춤하면서 가계소득 증가율이 1년 만에 떨어졌다. 특히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가계 이자비용은 17%나 늘어났다. 경기회복이 가계소득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버는 것에 비해 소비가 더 많아지면서 가계빚 증가 우려가 가시화하고 있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3ㆍ4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전국 2인 가구의 월평균 명목소득은 366만6,000원으로 지난해 3ㆍ4분기보다 6.1% 증가했다. 수출증가와 내수호조ㆍ추석효과가 겹치면서 4분기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하지만 소득 증가율을 흐름으로 보면 지난해 3ㆍ4분기(-0.7%)를 저점으로 증가세로 돌아선 뒤 4ㆍ4분기 4.9%, 올해 1ㆍ4분기 7.3%, 2ㆍ4분기 7.7% 등으로 상향곡선을 그렸으나 3ㆍ4분기에는 6%대로 내려서면서 증가율이 주춤하는 양상이다. 물가수준을 고려한 실질소득도 올 1ㆍ4분기 4.4%, 2ㆍ4분기 4.9% 등이었지만 3ㆍ4분기는 3.0%에 그쳐 올 들어 가장 낮았다. 지난해 3ㆍ4분기(-2.6%) 증가율이 대폭 추락한 기저효과를 고려해도 실질소득은 지난해와 비교해 소폭 증가에 그쳤다. 소비와 비소비지출을 합한 명목 가계지출은 6.7% 늘어난 월평균 300만8,000원으로 지난해 2ㆍ4분기 이후 6분기째 증가했다. 이 중 명목 소비지출은 추석효과로 5.3% 증가했으나 반면 물가가 급등하면서 실질 소비지출은 2.8% 증가에 그쳤다. 소비지출 가운데 비소비지출은 월평균 69만5,000원으로 지난해 3ㆍ4분기보다 11.9% 급증했다. 이는 소득증가와 고용확대에 따라 경상조세(소득세ㆍ재산세 등) 지출이 12.5%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특히 시중금리 인상에 따른 비소비지출 항목인 이자비용이 17.3%로 크게 증가했다. 2분기 연속 17%대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이는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린 것과 상관없이 시중은행이 금리를 미리 인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은행이 4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만큼 시중은행의 금리인상이 이어진다면 가계의 이자비용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득 5분위별로 보면 1분위(하위 20%) 소득 증가율이 13.6%로 5분위(상위 20%) 증가율 3.4%보다 월등히 높았다. 1분위의 소득 증가율이 높은 것은 공공일자리 사업이 끝났지만 민간 부문의 고용확대에 따라 1분위 근로자가구 비중이 40.0%로 지난해 3ㆍ4분기의 38.0%보다 높아진 영향으로 분석됐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계층 간 소득격차를 보여주는 소득 5분위 배율(균등화 가처분소득 기준)은 5.22배로 관련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낮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