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개도국에 맞는 외환제도는…/변동환율제 일단 ‘유리’

◎실제 시장가치 반영돼/환투기 개입소지 적어/국제수지 조정도 용이/물가통제는 취약 ‘단점’최근 동남아에서 시작해 중남미까지 퍼진 개도국의 통화위기로 과연 적합한 환율체제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번 외환위기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 있거나 비교적 온전할 수 있었던 개도국은 가장 유연한 환율체제를 갖고 있었다는 것이 분석가들의 견해다. 반대로 엄격한 고정환율제를 실시해왔던 개도국들은 대부분 자국 통화의 급격한 평가절하를 감수해야했다. 지난 6월부터 외환 투기세력은 그동안 고정환율제를 실시해왔던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및 체코 외환시장을 공격, 이들 정부 외환당국자의 무릅을 꿇게 했다. 이스라엘도 결국 통화위기를 피하기 위해 자국 통화의 변동폭을 확대했다. 메릴린치 증권의 개도국담당 분석가인 조이스 창은 『고정환율제는 개도국 경제가 성장을 거듭하면서 세계 경제와 통합을 가속화함에 따라 주요통화에 대해 너무 고평가되거나 저평가되는 등 주변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도국 통화가 실제 외환시장가치와 동떨어져 있을 경우 환차익을 노린 투기세력이 끼어들 소지가 커진다는게 외환 분석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대표적 예가 태국의 바트화. 살로만 브라더스 증권의 라크만 분석가는 『바트화는 그동안 주요통화중 미달러에 80% 연동되어 움직여왔다』면서 그러나 『대부분 아시아 국가들의 무역결제가 상당부분 엔화로 이루어지고 있어 실질적인 바트화환율이 결정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실제 달러는 지난 2년간 엔화와 마르크화에 대해 상승세였으며 이에따라 바트화도 고평가돼면서 태국은 수출부진을 겪어야 했다. 이같은 문제점을 감안, 개도국들은 80년대초부터 고정환율제의 갑옷을 던져 버리고 유연한 변동환율제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다. 국제 시장환경에 적합한 환율가치를 유지함으로써 외국자본의 급작스런 유입에 대처할 수 있을뿐 아니라 국제수지 조정이 용이하고 결국 실질적인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고정환율제에서 유리했던 물가통제가 어려워진다는 문제는 남는다. 전문가들은 고정환율제에서 변동환율제로의 급작스런 변동은 경제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어 좋지 않다고 경고하면서 변동환율제로 옮겨가는 것이 대세이나 『장기적으로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병관 기자>

관련기사



이병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