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이삼완 교수, 강력 항암물질 개발

이삼완 교수, 강력 항암물질 개발 네이처 온라인판에 관련 논문 게재 임웅재기자 jaelim@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미국 하버드대 의대의 한국인 교수가 인도산 후추(학명 piper longum)에서 탁월한 항암효과가 있는 물질과 유사한 물질을 합성해 이 물질이 암세포만 골라 죽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버드대 의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의 이삼완(53) 교수는 인도산 후추에서 추출한 PL(Piper Longumine)이라는 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탁월한 기능이 있다는 점을 발견, 13일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 온라인판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이 교수팀은 첨단과학장비를 이용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천연물을 점검한 결과 인도산 긴 후추에서 PL이라는 물질을 발견하고 이 물질이 암세포 사멸효소의 활성을 유도해 암의 크기를 줄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교수는 "기존 항암제는 독성이 강해 정상세포까지 죽이는 부작용이 있었으나 PL의 항암성분은 암세포만을 골라서 죽이고 다른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천연물과 유사한 물질을 합성, 동물실험을 통해 천연물과 같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앞으로 말기ㆍ희귀암 환자를 상대로 임상시험을 할 계획이다. 서울 출신인 이 교수는 1981년 미국으로 유학, UC버클리와 UC샌프란시스코에서 분자유전학박사 학위와 박사후(포스트닥)과정을 밟고 하버드대 의대에서 암유전학 박사후과정을 마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