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우려되는 주식 불공정 거래행위

주식시장이 활황세를 타면서 시세조종 등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일탈 행위’도 덩달아 늘어나고 있다. 주식불공정거래 혐의가 포착된 업체들은 엔터테인먼트나 바이오 등 이른바 테마주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부진한 실적으로 주가가 바닥권을 맴돌고 있는 테마주들은 불공정 거래행위 적발로 조정의 골이 깊어지면서 투자자들의 실망도 커지고 있다. 최근 감독당국이 대표이사를 고발한 코미팜이 대표적인 사례다. 코미팜은 지난해 한때 코스닥 시총 20위권에 드는 등 대표적 항암제 업체였다. 코미팜의 양모 대표의 혐의는 항암제의 임상1상 시험만을 승인받았지만 임상2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임상3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것처럼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시세조종했다는 것. 코미팜 측은 당시 유럽 지역의 임상시험 대행사의 보고대로 공시했을 뿐이라고 항변했지만 지난해 3월 이후 유럽 지역에서의 신약 판매등록 추진 등 허위사실을 지속적으로 퍼뜨려 1년여 동안 주가 급등락에 따른 투자자의 피해가 적지않았다는 점에서 비난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 네티즌은 인터넷카페에 올린 글에서 “정말 바이오ㆍ엔터테인먼트 주식은 쳐다봐서도 안된다는 것을 이번에 다시 느꼈다”고 성토했다. 이번 일로 엔터테인먼트와 바이오업종에 대한 신뢰는 회복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를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뢰도 하락으로 건전한 장기투자자는 점차 사라지고 단타ㆍ작전세력만 들끓으면서 ‘주식범법자’들만 양산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금융감독당국에 따르면 시세 조종, 미공개 정보 이용 등 주식 불공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건수는 지난 2003년 56건, 2004년 60건, 2005년 73건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올해도 3월 말 현재 20건에 달해 이 추세대로라면 지난해 규모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ㆍ엔터테인먼트 등 테마기업들은 이제라도 단기간 시세차익에 연연해 시장의 질서를 흐리기보다는 기술력과 수익능력 향상을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여주는 데 주력해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결국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