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폐광서 수출 금맥 캔다

'폐광주변 복구' 황금알 사업 부상 광해관리공단, 인도·콜롬비아 진출 잇달아<br>중소 중견기업 공동 진출 기회 넓어져

광해관리공단이 몽골 광해방지 사업에 진출한 가운데 공단 직원들이 현지 광산지역에서 석면 분포 조사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제공=광해관리공단

국내 공공기관인 광해관리공단은 최근 인도 코필리 수력발전소의 산성화 원인에 대한 기초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인도 북동부에 위치한 코필리 수력발전소는 발전용수가 심각하게 산성화돼 있어 환경파괴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 광해관리공단은 이곳에서 산성화 원인 진단과 함께 복원 개념모델을 제시하는 컨설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인도 정부와 막판 협의를 벌이고 있으며 사업이 성사될 경우 70억원 규모의 수주가 기대된다.

광산 개발에 따른 피해를 복구하는 '광해방지' 기술이 새로운 수출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 광산 개발은 사양길에 접어든 지 오래지만 역으로 폐광 주변을 복구하는 기술은 미래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동남아와 남미 등 개도국에서도 광산 개발을 앞두고 환경파괴 이슈가 부각되면서 우리의 선진 광해방지 기술이 수출 금맥으로 조명을 받고 있다.

18일 광해관리공단에 따르면 내년부터 인도·콜롬비아 및 동남아 지역 등을 중심으로 광해방지 기술 수출 규모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0년 해외사업을 처음 시작한 광해관리공단은 지금까지 38건의 사업에서 약 7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시작 단계에 불과하지만 광해방지 기술을 응용한 토지 및 수질 복구 기술 수요가 세계적으로 늘어나면서 해외사업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광해관리공단이 추진하고 있는 인도 사업의 경우 광해방지 기술이 새롭게 응용되는 대표적인 사례다. 광해는 광산 개발에 따른 수질 및 토양 오염, 산림파괴 등의 환경피해를 말하는데 발전소 주변의 수질피해에 대해서도 똑같은 복구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광해방지 기술력은 선진국의 85% 수준이지만 수질이나 토양 개선 및 지리정보 시스템 응용분야에서는 세계 수위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광해관리공단은 이에 따라 내년부터 인도·콜롬비아를 비롯해 동남아 등에서 광해방지 기술 수출을 늘리며 해외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콜롬비아의 경우 금광산의 선광 폐수처리 산업을 두고 콜럼비아 기업들과 광해관리공단이 이미 심도 있는 사전작업을 벌이고 있다.

광해방지 기술 수출이 우리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주요 모델로 부각되고 있는 것도 눈에 띄는 부분. 우리 정부가 지원하는 ODA를 우리 기업이 다시 수주한다면 사실상 수출 효과가 생기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같은 사업은 몽골에서 이미 추진 중으로 광해관리공단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ODA 사업인 '몽골 광해 실태조사 및 광해 정보화 구축사업'을 2011년부터 시작했다.광해방지 수출사업은 또한 앞으로 국내 중소기업들의 수출 활로를 뚫어주는 측면에서도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현재 국내에 광해방지 사업자들은 약 100여개 중소·중견기업들로 구성돼 있는데 이들의 시장은 사실상 정부의 광해방지 사업 예산 규모(약 1,000억원)에 갇혀 있다. 광해관리공단이 광해방지 기술의 해외수출에 성공하면 자연스레 이들 중소기업들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도 늘어나는 셈이다. 권혁인 광해관리공단 이사장은 "광해관리는 광업과 환경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생겨난 융합산업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광해방지 기술력과 사업 노하우를 수출 상품화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